2타점 적시타에 볼넷까지! 김혜성, ‘이게 바로 빅리그 스타일’

김혜성(26)이 2025 시범경기에서 중요한 기회를 잡으며 개막전 로스터 진입 가능성을 높였다. 10일(한국시각) 미국 애리조나주 글렌데일의 캐멀백 랜치에서 열린 오클랜드 어슬레틱스와 LA 다저스의 2025 시범경기에서 김혜성은 교체로 출전해 2타점 적시타와 볼넷을 기록하며 부진을 씻어냈다. 이 활약은 김혜성에게 큰 의미를 갖는다. 그동안 시범경기에서 부진했던 그는 이번 경기를 통해 자신의 존재감을 확실히 드러냈다.

 

김혜성은 이날 7회 말 2사 만루 상황에서 첫 타석을 맞이했다. 상대는 지난해 정규시즌에서 98마일(158km)의 빠른 공을 던졌던 미첼 오타네즈였다. 오타네즈는 강력한 패스트볼을 구사하는 우완 불펜 투수로, 김혜성에게 몸쪽으로 빠른 공을 계속 던졌다. 첫 번째 타석에서 김혜성은 초구 낮은 볼을 골라냈고, 2구째에는 98.2마일(158km) 높고 빠른 패스트볼에 헛스윙을 했다. 이어 3구째 몸쪽 슬라이더에도 헛스윙하며 불리한 1B-2S 카운트에 몰렸다.

 

하지만 김혜성은 이후에도 절대 물러서지 않았다. 그는 4구부터 6구까지 연속으로 빠른 공을 파울로 막아내며 타석에서 끈질기게 승부를 이어갔다. 마지막으로 7구째, 다시 한 번 몸쪽으로 들어온 강속구를 받아쳐 중견수 앞에 떨어지는 2타점 적시타를 기록했다. 이 타구는 살짝 먹힌 타구였지만, 몸쪽 빠른 공을 정확히 공략해 중요한 순간에 멀티타점을 기록하는 데 성공했다. 이로써 김혜성은 8일 시애틀 매리너스전 이후 2경기 만에 추가 안타를 기록하며, 시범경기에서 5호 안타와 첫 멀티타점을 기록했다. 

 

적시타를 친 뒤, 김혜성은 중견수 송구가 빠지면서 2루까지 도달해 기회를 이어갔다. 그의 빠른 발이 또 한 번 빛을 발한 순간이었다. 이후 9회 말 2사 1루의 마지막 타석에서는 또 다른 중요한 출루를 기록했다. 김혜성은 7구까지 끈질긴 승부를 펼친 끝에 상대의 높은 유인구를 골라내며 볼넷을 얻어냈다. 이 두 번의 출루는 김혜성에게 큰 도움이 되었다.

 

 

 

이번 경기는 김혜성에게 중요한 이정표가 됐다. 그동안 시범경기에서의 성적이 부진해, 현지 언론에서는 그가 개막전 로스터에 합류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김혜성은 이번 경기에서 그동안의 부진을 씻어내고, 자신만의 강점을 제대로 발휘했다. 특히 강속구에 대한 대처 능력을 입증한 점과 찬스에서 무기력하게 물러나지 않은 점은 가장 긍정적인 부분이었다. 또한, 두 차례 출루한 김혜성은 이미 도루 성공을 통해 입증한 뛰어난 베이스 러닝 능력을 다시 한 번 보여주며, 로스터 경쟁에서 중요한 우위를 점하게 됐다.

 

경기 후, 다저스의 데이브 로버츠 감독은 김혜성의 타석에서의 활약을 칭찬했다. 그러나 도쿄시리즈 합류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글로벌 스포츠 매체 디 어슬레틱의 파비안 아르다야는 "로버츠 감독은 김혜성의 타석을 칭찬했지만, 그가 도쿄시리즈에 합류할지 여부에 대한 대화는 여전히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김혜성은 도쿄시리즈 합류, 마이너리그행, 애리조나 스프링트레이닝 잔류 등 여러 시나리오 중 하나가 결정될 때까지 계속해서 경쟁을 이어가야 한다.

 

한편, 김혜성은 이번 경기를 통해 로스터 진입 경쟁에서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 다저스는 오는 18일과 19일 일본 도쿄돔에서 시카고 컵스와 2025 도쿄시리즈 2경기를 통해 개막전을 치른다. 김혜성은 도쿄시리즈에 합류할지 여부가 여전히 결정되지 않았지만, 시범경기에서 얻은 성과를 바탕으로 개막전 로스터에 이름을 올리기 위한 마지막 기회를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현지 보도에 따르면 도쿄시리즈에 합류하지 못하더라도, 시범경기 잔여 일정을 마친 후 다시 정규시즌 로스터에 진입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한다.

 

김혜성은 빅리그에 도전하며 끊임없이 자신의 능력을 증명하고 있다. 과연 김혜성이 어떻게 결과를 맞이할지, 그의 도전은 계속될 것이다.

 

문화포털

美 FDA, 통영산 일부 냉동 굴 리콜... "노로바이러스 오염 우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경상남도 통영에서 제조된 일부 냉동 굴 제품에 대해 '노로바이러스 오염 가능성'을 경고하며 판매 중단 및 전량 회수 조치에 돌입했으며, 이로 인해 겨울철 대표적인 수산물인 굴 섭취에 '빨간불'이 켜지면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FDA는 지난 11일(현지시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한국 통영산 일부 냉동 반각굴(half-shell) 제품에서 노로바이러스 오염 가능성이 확인됐다며, 해당 제품의 판매 중단 및 회수를 긴급 명령했다. 리콜 대상은 특정 업체가 2024년 1월 30일과 2월 4일에 통영에서 생산한 냉동 반각굴 제품이다. 이번 조치는 굴이 유통된 캘리포니아주에서 FDA에 노로바이러스 의심 신고가 접수되면서 발 빠르게 이루어졌다.FDA는 "요식업체와 소매점은 오염 가능성이 있는 냉동 반각굴 판매 및 제공을 '절대 금지'하며, 즉시 전량 폐기 또는 유통업체 반품"을 강력히 지시했다. 또한, "굴 섭취 후 노로바이러스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지체 없이 의료기관을 방문하라"고 경고했다.노로바이러스는 늦가을부터 초봄(11월~3월) 사이, 특히 영유아에게서 흔히 발생하는 급성 위장염의 주범이다. 오염된 지하수나 굴, 조개 등 어패류를 섭취하거나, 감염자와 접촉, 심지어 공기 중 비말(침방울)을 통해서도 쉽게 전파된다. 감염력이 매우 강할 뿐만 아니라, 한 번 감염되었다고 해서 평생 면역이 생기는 것도 아니어서 재감염 위험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노로바이러스는 혹독한 추위에도 살아남는 끈질긴 생명력을 자랑한다. 영하 20도에서도 생존하며, 극소량의 바이러스만으로도 남녀노소 누구나 감염될 수 있다. 설사, 구토, 복통, 오한, 발열 등이 대표적인 증상이며,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아이들은 심각한 탈수 증세나 합병증으로 고생할 수 있다.세계보건기구(WHO)의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7억 명이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며, 이 중 20만 명은 안타깝게도 목숨을 잃는다. 노로바이러스는 이제 식중독 사망 원인 'Top 5' 안에 들 정도로 위협적인 존재가 되었다.더욱 심각한 문제는 노로바이러스가 맹위를 떨치고 있음에도, 아직까지 이를 예방할 백신이 개발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수많은 제약회사가 백신 개발에 뛰어들었지만, 번번이 실패의 쓴맛을 보고 있다.결국 노로바이러스 감염을 막는 최선의 방법은 철저한 개인위생 관리뿐이다.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굴 등 어패류는 반드시 익혀 먹기, 물 끓여 마시기, 채소와 과일은 깨끗하게 세척 후 섭취 등 기본적인 위생 수칙을 생활화해야 한다. 특히 겨울철 굴 섭취 시에는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조금이라도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지체 없이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