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 수업 중 '라면 먹으며 먹방'..출석정지 10일 징계뿐

 선생님이 말리는데도 수업 시간에 라이브 방송을 켜고 라면을 먹는 모습을 찍은 고등학생이 10일 출석 정지의 징계를 받은 일이 알려졌다. 

 

26일 강원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4월 강원도 원주의 한 고등학생 3학년 A군이 수업 중에 자신의 SNS 계정을 통해 '수업 시간 해장'이라는 제목으로 태연하게 컵라면을 먹는 모습을 생중계했다. 

 

A군은 라이브 방송 중에 수업을 하고 있는 선생님이 비추거나 자신의 팔 문신을 보여주는 등 수업을 방해했다. 

 

선생님이 "하지 말라"고 제지했으나 A군은 아랑곳 없이 방송을 이어갔다. 이후 다른 선생님이 상담실로 데려가서 상담하는 과정에서 방송을 껐다고 거짓말을 하고 라이브 방송을 이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A군에게 음주·학교 명예 실추 등의 이유로 '출석정지 10일'의 약한 징계 처분이 내렸다고 전해졌다. 

 

문화포털

8시 16분 좌초, 8시 36분 구조대 도착... 267명 살린 골든타임 20분

 전남 신안군 해상에서 대형 여객선이 암초에 좌초되는 긴급 상황이 발생했으나, 승무원들의 책임감 있는 대응과 질서 정연한 구조 작업 덕분에 탑승객 267명 전원이 무사히 구조됐다.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해상 안전 의식이 높아진 가운데, 노약자와 어린이를 우선 대피시키는 등 인명 피해를 막은 모범적인 대응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20일 해양경찰청 등에 따르면, 사고는 지난 19일 오후 8시 16분경 전남 신안군 인근 해상에서 제주를 출발해 목포로 향하던 여객선 '퀸제누비아2호'(승객 246명, 승무원 21명)가 암초에 걸려 멈춰 서면서 발생했다. 신고 접수 약 20분 만에 해경 고속정과 서해특수구조대가 현장에 도착해 즉각적인 구조에 나섰다.사고 직후 선내에서는 침착한 안내 방송이 이어졌다. 승무원들은 노약자, 임산부, 어린이 등 취약 계층의 우선 대피를 유도했으며, 승객들은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승무원의 안내에 따라 차분하게 탈출했다. 한 승객은 "아이 있는 사람과 임산부, 어린 사람이 먼저 타라고 해서 먼저 탔다"며 신속했던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특히, 이번 사고에서 승무원들은 구조가 완료될 때까지 끝까지 배에 남아 사고를 수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선장과 선원이 먼저 탈출했던 세월호 참사와 극명하게 대비되는 모습으로, 신속하고 책임감 있는 대응이 대형 인명 피해를 막았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잇따르고 있다.해경은 이번 사고의 원인을 운항 부주의 또는 선장 및 항해사의 과실로 추정하고 집중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김용진 해양경찰청장은 20일 브리핑에서 "좌초 이유에 대해 추가 조사가 필요하지만, 현재로선 선장 또는 항해사 과실로 추정 중"이라고 밝혔다. 채수준 목포해양경찰서장 역시 대형 선박이 섬에 충돌하는 것은 이례적이라며 원인 규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해경은 향후 출항 전 안전점검 이행 여부, 조타실 근무 상황, 오토파일럿 설정 및 항로 등을 면밀히 조사할 방침이다. 아울러 해양수산청과 협의해 좌초된 선박의 이초(재부양)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예인선 투입을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