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아는 클리셰인데, 오히려 신선하게 느껴지는 '눈물의 여왕'

 성격 나쁜 재벌 3세와 밝고 착한데 할 말은 하는 평범한 사원 커플. 신데렐라가 떠오르는 클리셰적인 구도에 이어 재벌 3세가 시한부라고 하면, 클리셰의 절정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런데도 '신선하다'는 호평을 받으며 첫 회 6%였던 시청률이 13%까지 뛰어오르는 기염을 토한 드라마 '눈물의 여왕'은 클리셰를 과감하게 비틀어서 소비함으로 오히려 신선함을 준다.

 

가장 크게 비튼 것은 성별이다. 재벌 3세는 여자고 밝고 착한 사원은 남자다. 백마 탄 왕자가 아닌 백마 탄 '여왕'이다. 그런데 그 뿐만이 아니다. 

 

재벌 3세, 홍해인 집안에서 제사를 준비하면 사위들이 다 한다. 하버드 화학 전공이었던 사위가 전이 속까지 익었는지 살펴보고, 세계적인 디자인 스쿨을 수료한 사위가 음식 모양을 다듬고, 루브르 박물관에 조형물을 세운 건축가 사위는 동그랑땡을 예쁘게 쌓아 올린다.

 

해인의 남동생은 매형이 구운 전을 집어먹으며 "왕가나 뼈대 있는 가문의 제사 준비는 원래 남자들이 다 했대"라는 말을 보탠다. 한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명절에 일하는 며느리 옆에서 얄미운 소리 하는 시누이가 남자 버전이 된 것이다.

 

가족 모임에서 출산의 압박이 들어오면 아내인 해인은 가만히 있는데, 남편인 현우가 괜히 안절부절 못한다. 장인은 이미 외손녀 이름을 '홍수빈'으로 정해놨다고 하자 현우가 조심스럽게 "백수빈이 아니라 홍수빈인가요"라 묻고, 이에 대한 답으로는 "호주제도 폐지됐는데 아빠 성만 따르면 고리타분한 것 같은데. 엄마 성 붙이는 거 별로인가?"라며 면박이 날아온다. 

 

단순한 성별 전복이 아니다. 드라마 속 현우는 과수원도 하고 슈퍼마켓도 운영하는 집안의 아들인 데다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실력 있는 변호사다. 그러나 해인이 속한 재벌을 기준에 세우면 현우는 초라해질 뿐이다. 

 

이런 반전된 설정을 제외하면 전통적인 로맨스 코미디 드라마의 공식을 잇고 있다. 해인은 전용기를 타고 현우에게 오더니 "절대 당신 눈에서 눈물 나게 안 할게"라질 않나, 매형을 무시하는 남동생을 뒤에서 제압한다. 현우도 로맨스에서 인기 있는 캐릭터인 '후회남주(잘못을 저지른 뒤 후회하고 헌신적인 모습을 보이는 남자 주인공)'다.

 

김선영 드라마 평론가는 "어떤 성별 위계보다 계급이 우선되는 사회로, 재밌긴 한데 너무 현실적이라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것 같다. 작가가 클리셰를 정말 잘 활용했다"고 평했다.

 

문화포털

홍준표의 경고 무시했던 한덕수, 예견된 비극의 전말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내란 방조 혐의 등으로 징역 15년이 구형된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상황에 대해 안타까움과 함께 날 선 비판을 쏟아냈다. 홍 전 시장은 한 전 총리가 오랜 관료 생활의 명예를 한순간에 잃게 된 것을 두고 "사람 망가지는 것은 한순간"이라며, 뒤늦게 후회해도 이미 기차는 떠났으니 운명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냉정한 평가를 내렸다. 그는 신중하고 사려 깊던 인물로 기억되던 한 전 총리가 어째서 이런 "터무니없는 꿈"을 꾸게 되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며, 현재의 비극적인 상황이 개인의 선택을 넘어선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되었음을 암시했다.홍 전 시장은 과거 자신이 한 전 총리에게 보냈던 공개적인 경고를 다시 한번 상기시켰다. 그는 한 전 총리가 50년 관료 생활을 비참하게 끝낼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하며,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 오직 엄정하게 선거를 관리하는 역할에만 충실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었다고 밝혔다. 이러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한 전 총리가 결국 대선판에 뛰어든 것을 두고, 홍 전 시장은 그 선택이 결국 파멸의 길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이는 홍 전 시장 입장에서 충분히 예견된 비극이었으며, 신중함을 잃은 노련한 관료의 판단 착오가 얼마나 치명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했다.특히 홍 전 시장은 한 전 총리 개인의 책임보다는 그를 정치적 야망의 길로 부추긴 배후 세력에 대한 책임론을 정면으로 제기했다. 그는 지난 대선후보 경선에 한 전 총리를 끌어들여 결과적으로 이재명 후보에게 정권을 헌납하게 만든 장본인들이 누구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 배후로 윤석열·김건희 부부, 당시의 참모들과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 그리고 일부 보수 언론까지 구체적으로 거명하며 의혹의 시선을 보냈다. 나라의 운명은 어찌 되든 자신들의 안위와 정치적 이익만을 챙기려 한 자들의 소행임이 분명하다며, 이들이야말로 한 전 총리를 이용한 더 나쁜 세력이라고 규정했다.마지막으로 홍 전 시장은 한 전 총리의 법적 책임을 '부화뇌동죄'라는 개념으로 정의하며 그의 과오를 지적했다. 계엄 선포와 같은 중대한 국기문란 행위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지 않았더라도, 이를 저지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고 침묵하거나 동조한 것만으로도 중대한 죄가 성립된다는 것이다. 그는 징역 15년이라는 무거운 구형을 받은 한 전 총리가 과연 자신의 죄가 무엇인지 제대로 인지하고 있을지 반문하며, 맹목적으로 권력의 흐름에 편승한 대가가 얼마나 참혹한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