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상승 '웨딩플레이션' 등장 "돈 없으면 결혼 못한다"

 드레스 대여, 웨딩 촬영, 예물 반지 등 웨딩 업계의 물가 상승으로 예비 신랑, 신부들 사이에 '웨딩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결혼정보회사 가연의 기혼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결혼 준비 비용 설문조사에 따르면 "결혼 준비 비용으로 평균 6298만 원이 들며, 혼수를 준비하는 데만 2615만 원이 소요된다"고 조사됐다.

 

고물가와 함께 비혼이 늘어나 결혼업계가 단가를 높인 이유도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정부는 웨딩플레이션을 예방하기 위해 결혼 서비스 시장의 실태를 조사하고 가격 정보를 공개하기로 결정했다.

 

문화포털

한국 10대 '패드립' 배울 때…핀란드에선 중2가 초4에게 '이것' 가르친다

 한국의 10대들이 온라인 세상에 첫발을 내딛는 순간부터 마주하는 것은 '패드립(가족을 향한 욕설)', '성희롱', '장애인 혐오'와 같은 여과되지 않은 폭력이다. 익명의 공간에서 중고등학생 형들에게 배우는 것이라고는 세상을 향한 냉소와 혐오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자아를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에 차별과 혐오가 깊숙이 파고들면서, 이는 자연스럽게 극우적 신념으로까지 이어질 위험을 내포한다. 하지만 이 왜곡된 시선을 바로잡아 줄 안전장치, 즉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한국의 공교육 시스템 안에서 사실상 실종된 상태다.이러한 현실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선진국으로 불리는 핀란드의 교실을 들여다보자. 그곳에서는 한국에선 상상하기 힘든 풍경이 펼쳐진다. 핀란드의 한 종합학교, 우리나라의 중학교 1, 2학년에 해당하는 7, 8학년 학생들은 1교시부터 '온라인 괴롭힘은 왜 생기는가?'와 같은 근본적인 질문을 놓고 열띤 토론을 벌인다. 이들은 조별 토론을 통해 "처벌과 모니터링 부족", "익명성의 악용" 등 놀랍도록 분석적인 답을 스스로 찾아낸다.핀란드 교육의 진짜 힘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이 수업의 핵심은 바로 '가르치기 위해 배우는 것'에 있다. 중학생들은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넘어, 이 내용을 어떻게 초등학교 4학년 후배들에게 가르칠지 구체적인 교수법까지 고민해야 하는 과제를 받는다. 이는 '지원 학생(Tukioppilas)'이라 불리는 핀란드 특유의 멘토링 교육 시스템이다. 50년 넘게 발전해 온 이 교수법은 선배가 멘토가 되어 후배를 직접 가르치는 방식이다. 선배는 가르치는 과정에서 내용을 완벽하게 자기 것으로 만들고, 후배들은 딱딱한 교사의 설명보다 눈높이에 맞는 선배의 말을 훨씬 효과적으로 받아들인다.실제로 두 시간 뒤, 초등학교 4학년 교실에서는 훨씬 더 활기찬 수업이 진행된다. "어제 게임 한 사람, 제자리 뛰기!"와 같은 놀이로 시작해 아이들의 흥미를 끈 뒤, "안전하게 미디어를 쓰는 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이때 앞서 수업을 들었던 중학생 멘토들이 각 조에 투입되어 후배들의 토론을 돕는다. 단어 뜻을 설명해주고, 추가 질문으로 생각을 이끌어내는 선배들의 모습은 꽤나 인상적이다. 후배들은 선생님의 말보다 선배의 말을 더 경청하며 미디어 세상의 규칙을 자연스럽게 체득한다.핀란드 교육자들은 10살(초4)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골든타임'으로 본다. 막 미디어 세상에 발을 들여놓은 시기라 교육 효과가 가장 크기 때문이다. "알고리즘의 영향력"과 같이 어려운 개념은 "사탕 꾸러미에서 좋아하는 맛 하나를 꺼냈더니 다른 사탕도 그 맛으로 변하는 것"처럼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비유로 설명한다. 이 조기 교육 덕분에 아이들은 '모르는 사람이 보낸 링크'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문제가 생겼을 때 혼자 끙끙 앓는 대신 어른에게 도움을 청해야 한다는 사실을 배운다.이 모든 것이 가능한 배경에는 '교사에 대한 깊은 신뢰'가 자리 잡고 있다. 핀란드 교사들은 대부분 석사 학위 소지자로, 사회적 존중과 신뢰가 두텁다. 덕분에 교사들은 전쟁 관련 가짜뉴스 같은 민감한 정치적 이슈를 다루는 것을 금기시하지 않는다. 오히려 아이들이 접하는 틀린 정보를 바로잡아주는 것을 '교사의 당연한 의무'로 여긴다. 혐오와 가짜뉴스에 아이들이 물들지 않도록 국가와 학교, 가정이 함께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 그것이 바로 핀란드 미디어 교육의 핵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