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 산하 레이블 어도어와의 내홍에 '주가 약세'

 국내 최대 가요기획사 하이브의 주가가 산하 레이블 어도어와 내부 소란으로 이틀째 약세가 나타났다. 

 

23일 오전 10시 10분을 기준으로 하이브의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3.29% 하락한 20만 5500원에 거래 중이며, 시가총액이 9조 6008억 원에서 8조 8511억 원으로 감소했다. 

 

앞서 22일 하이브의 어도어 레이블 민희진 대표 등이 '경영군 탈취를 시도했다"며 감사 착수 소식이 알려지면서 주가가 급락했다. 

 

현재 어도어 지분은 하이브가 80%, 나머지 20%는 민희진 대표 등이 보유하고 있다. 

 

이에 대해 민 대표는 "문제의 본질은 하이브의 자회사 빌리프랩의 걸 그룹 아일릿이 뉴진스를 카피이다"고 밝혔다. 

 

한편 증권가는 "두 집안의 싸움은 실적에 제한적일 것이다"며 "뉴진스의 활동이 예정되어 있어 하이브의 영업이익에 긍정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화포털

‘잉글랜드 2군’ 꿈꾸는 인도, FIFA 순위 반전 임박

 인도 축구 국가대표팀의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이 최근 133위로 9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전인도축구연맹(AIFF)이 대책 마련에 나섰다. 특히 AIFF는 귀화 정책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인도가 향후 아시아 축구 경쟁에서 새로운 강자로 부상할 가능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인도는 2023년 7월에 FIFA 랭킹 99위에 오르며 100위권 안에 진입했으나, 이후 중요한 국제 대회와 경기에서 충분한 랭킹 포인트를 획득하지 못하면서 급격히 순위가 하락했다. 2년 만에 133위까지 떨어지며 국가대표팀의 부진이 뚜렷해졌다. 인도의 축구 역사는 깊고 클럽 축구에 대한 투자도 활발하지만, 이 같은 기반에도 불구하고 대표팀의 국제 경쟁력은 여전히 약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AIFF의 칼리안 차우베이 회장은 FIFA 랭킹 하락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하며 유소년 육성 강화, 조직력 개선, 팬 참여 확대와 같은 중장기 전략을 강조했다. 그러나 당장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귀화 정책과 같은 보다 직접적인 선수 보강 방안도 필요하다고 판단, 해외에서 뛰고 있는 인도계 선수들의 귀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인도의 귀화 정책이 성공할 경우, 인도는 단기간 내에 팀 전력을 대폭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인도네시아 사례가 주목된다. 인도네시아는 과거 네덜란드 식민지 시절 인연을 바탕으로 네덜란드 출신 선수들을 대거 귀화시키면서 팀 전력을 크게 강화했고, 이에 따라 FIFA 랭킹도 지난 2년간 150위에서 118위까지 상승하는 성과를 냈다. 인도 역시 영국의 식민지였던 역사를 기반으로, 영국 내 인도계 이민자 및 그 후손들 중 프로 축구 선수들을 귀화시켜 팀 전력 강화에 나설 계획이다. 이미 AIFF는 귀화가 가능한 해외 선수 약 33명과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매체 '넷이즈'는 인도 언론을 인용해, 이 선수들이 인도 대표팀에 합류할 경우 팀 전력이 크게 상승해 중국뿐만 아니라 일본, 대한민국 등 아시아 주요 축구 강국들과의 경쟁 구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이들 선수는 잉글랜드 챔피언십(2부 리그)과 잉글랜드 리그1(3부 리그)에서 활약 중인 선수들이 많아 경쟁력이 매우 높다는 평가다.이러한 귀화 정책은 단순히 선수 보강을 넘어서, 인도 축구의 전반적인 수준을 끌어올리고 국제무대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다. AIFF는 유소년 육성과 국내 클럽 축구의 성장, 팬 참여 확대 등의 장기 과제와 병행해 해외 인도계 선수들의 귀화를 통해 단기간 내 성과를 내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국제 축구계와 아시아 축구 경쟁 구도에 있어서도 인도의 이 같은 움직임은 주목할 만하다. 기존에 아시아 축구의 강자로 군림해온 일본, 대한민국, 중국 등과의 경쟁 구도가 변화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은 인도네시아의 귀화 성공 사례를 보며 인도의 귀화 정책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한편, 인도 축구팬들 사이에서도 해외에서 뛰는 인도계 선수들의 국가대표 합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AIFF의 정책이 성공해 인도가 국제 무대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내고, 아시아 축구계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지 향후 행보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