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도어와 하이브, 경영권 논쟁 속 뉴진스-아일릿 표절 논란 재점화

 하이브와 어도어 간의 경영권 다툼이 점차 확산하면서 뉴진스 표절 논란이 다시 한번 불붙고 있다. 

 

하이브 측이 22일, 어도어의 수장인 민희진 대표가 회사 경영권을 장악하려 한다는 의혹을 제기하면서 이번 갈등이 심화하였다. 이에 대해 민 대표는 주장을 강력히 부인하고 어도어가 하이브의 '뉴진스 베끼기'로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며 대응에 나섰다.

 

민 대표는 이날 인터뷰에서 "어도어 경영권을 탈취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명확히 밝히며 이 같은 발언은 어도어가 한 달 전부터 제기한 '뉴진스 표절' 문제를 묵과하는 시도라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하이브는 민 대표가 본사로부터 독립하려는 움직임을 탐지하고 감사권을 발동해 증거 수집에 나섰다고 전해졌다. 

 

어도어는 하이브의 주요 주주로, 하이브는 어도어의 지분 80%를 소유하고 있다. 이번 갈등은 주가 하락으로 이어졌으며, 이에 대한 단기적인 해결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민 대표와 어도어 경영진은 하이브로부터 뉴진스 표절에 대한 입장 표명과 시정 조치를 요구했으나, 지금까지 어떠한 답변도 받지 못했다고 전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이브의 멀티 레이블 체제가 파국에 직면할 가능성도 우려된다. 양사 간의 갈등이 계속되면 하이브의 멀티 레이블 시스템이 붕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문화포털

로고 큰 가방은 이제 그만…진짜 '패피'들이 올가을 꽂힌 소재의 정체

 가을의 문턱에서 패션계의 시선이 하나의 소재에 압도적으로 집중되고 있다. 한동안 ‘가을 소재’라는 익숙한 수식어에 갇혀 있던 스웨이드가 올 시즌 가장 뜨거운 키워드로 화려하게 귀환한 것이다. 패션 플랫폼 LF몰의 데이터는 이러한 현상을 명확히 보여준다. 최근 한 달여간 ‘스웨이드’ 키워드 검색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두 배 이상 폭증했으며, 특히 ‘스웨이드 가방’ 검색량은 무려 955%, 즉 10배 가까이 치솟는 기염을 토했다. 이는 소비자들이 스웨이드의 매력을 가장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아이템으로 가방과 신발과 같은 액세서리에 얼마나 열광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단순히 계절이 바뀌어 찾는 소재가 아닌, 하나의 거대한 트렌드로서 스웨이드의 부활을 알리는 신호탄이다.스웨이드의 이토록 거세진 존재감은 올해 패션계를 관통하는 거대한 두 흐름, 즉 70년대부터 90년대까지 이어지는 빈티지 무드와 과시하지 않는 은은한 세련미를 강조하는 ‘소프트 럭셔리’ 트렌드와 완벽하게 맞물렸기 때문이다. 가죽의 안쪽 면을 부드럽게 가공해 만든 스웨이드 특유의 따뜻하고 매트한 질감, 그리고 깊이 있는 색감은 화려한 로고나 번쩍이는 장식 없이도 그 자체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겉으로 드러내기보다 소재와 실루엣에서 나오는 은은한 멋을 추구하는 현재 소비자들의 까다로운 취향을 정확히 저격한 것이다. 스웨이드는 이제 낡은 것이 아닌, 가장 현대적이고 세련된 감성을 표현하는 소재로 재평가받고 있다.이러한 흐름에 가장 발 빠르게 움직이는 것은 단연 패션 브랜드들이다. 저마다의 방식으로 스웨이드 아이템을 전면에 내세우며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LF의 닥스 액세서리는 소가죽과 염소가죽 등 고급 스웨이드 소재 본연의 감도를 극대화한 가방 라인업을 대폭 확대하며 정공법을 택했다. 헤지스 액세서리는 올해 유행 컬러인 ‘모카무스’ 색상을 스웨이드에 접목한 ‘엣지 백’으로 초도 물량 완판 신화를 썼고, 현재 5차 재생산에 돌입하며 그 인기를 증명하고 있다. 질스튜어트 뉴욕 액세서리는 한발 더 나아가 이탈리아의 최고급 스웨이드 전문 공장에서 생산한 프리미엄 소재를 사용하고, 가방뿐만 아니라 부츠까지 새롭게 선보이며 스웨이드의 활용 범위를 넓히는 데 집중하고 있다.결국 올가을 스웨이드는 단순히 계절감을 나타내는 소재를 넘어, 스타일의 핵심을 완성하는 ‘포인트’ 아이템으로 그 위상이 격상되었다. 지난해에는 재킷이나 아우터 등 의류 품목에서 스웨이드가 주로 활용되었다면, 올해는 한층 다채로워진 색감과 고급스러운 소재감을 무기로 한 가방과 신발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요란한 장식 없이도 잘 만들어진 스웨이드 백 하나, 혹은 스웨이드 부츠 한 켤레만으로도 전체적인 룩에 깊이와 세련미를 더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스웨이드가 단순한 유행을 넘어 올가을 패션의 ‘주인공’으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