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도어와 하이브, 경영권 논쟁 속 뉴진스-아일릿 표절 논란 재점화

 하이브와 어도어 간의 경영권 다툼이 점차 확산하면서 뉴진스 표절 논란이 다시 한번 불붙고 있다. 

 

하이브 측이 22일, 어도어의 수장인 민희진 대표가 회사 경영권을 장악하려 한다는 의혹을 제기하면서 이번 갈등이 심화하였다. 이에 대해 민 대표는 주장을 강력히 부인하고 어도어가 하이브의 '뉴진스 베끼기'로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며 대응에 나섰다.

 

민 대표는 이날 인터뷰에서 "어도어 경영권을 탈취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명확히 밝히며 이 같은 발언은 어도어가 한 달 전부터 제기한 '뉴진스 표절' 문제를 묵과하는 시도라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하이브는 민 대표가 본사로부터 독립하려는 움직임을 탐지하고 감사권을 발동해 증거 수집에 나섰다고 전해졌다. 

 

어도어는 하이브의 주요 주주로, 하이브는 어도어의 지분 80%를 소유하고 있다. 이번 갈등은 주가 하락으로 이어졌으며, 이에 대한 단기적인 해결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민 대표와 어도어 경영진은 하이브로부터 뉴진스 표절에 대한 입장 표명과 시정 조치를 요구했으나, 지금까지 어떠한 답변도 받지 못했다고 전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이브의 멀티 레이블 체제가 파국에 직면할 가능성도 우려된다. 양사 간의 갈등이 계속되면 하이브의 멀티 레이블 시스템이 붕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문화포털

15년간 500점씩 팔려나갔다…'아는 사람만 안다'는 대구의 비밀스러운 미술 축제 정체

 대구의 늦가을을 예술의 향연으로 물들일 '2025 대구아트페스티벌'이 오는 12월 3일, 대구문화예술회관의 문을 활짝 연다. 올해로 15년째를 맞이하는 이 축제는 지역 작가들에게는 소중한 작품 발표와 판매의 장을, 시민들에게는 미술의 높은 문턱을 넘어 예술과 가까워질 기회를 제공하며 대구를 대표하는 미술 축제로 굳건히 자리매김해왔다. 단순한 전시를 넘어 작가와 관람객이 직접 소통하고, 작품이 새로운 주인을 만나는 생생한 '미술 시장'의 역할을 해온 것이다. 이번 축제 역시 1부(3~7일)와 2부(9~13일)로 나뉘어 진행되며, 특별전을 포함해 총 400여 명에 달하는 작가들이 참여해 풍성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선사할 예정이다.이번 축제의 가장 큰 특징이자 핵심은 작가와 시민이 직접 만나는 '부스 전시'에 있다. 1부와 2부로 나뉘어 각각 80개씩, 총 160개의 부스가 마련되는데, 각 부스는 작가 개개인의 독립된 작은 갤러리가 된다. 관람객들은 정형화된 갤러리의 하얀 벽에 걸린 작품을 멀리서 감상하는 데 그치지 않고, 부스에 상주하는 작가와 직접 대화를 나누며 작품의 탄생 배경과 철학에 대한 깊이 있는 설명을 들을 수 있다. 이러한 직접적인 소통은 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일 뿐만 아니라, 작가에게는 창작의 동력을 불어넣고 관람객에게는 예술에 대한 친밀감을 형성하게 하는 축제의 가장 중요한 순기능으로 작용한다.다채로운 특별전은 축제에 풍성함을 더하는 또 다른 관전 포인트다. 먼저, 3일부터 7일까지 9~11전시실에서는 전통의 미와 현대적 감각이 어우러진 '민화 특별전'이 열린다. 궁중회화, 풍속화부터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창작 민화, 나전과 옻칠을 이용한 작품까지 민화의 모든 것을 아우르는 이번 전시는 과거의 화풍을 답습하는 것을 넘어, 전통을 현시대의 맥락에 맞게 확장하며 새로운 문화적 흐름을 만들어간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이와 함께 전체 전시 기간 동안 12, 13전시실에서는 '현대미술 조망전-공존과 포용'이 펼쳐져, 김결수, 노창환 등 17명의 중진 작가들이 선보이는 깊이 있는 현대미술의 세계를 만끽할 수 있다.미술 애호가뿐만 아니라 이제 막 미술에 입문하려는 이들의 발길을 사로잡을 특별한 이벤트도 마련된다. 1층 로비 부스에서 열리는 '405060전(展)'은 100여 명의 작가가 참여한 작은 작품들을 40만 원에서 60만 원 사이의 파격적인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미술품 소장에 대한 심리적, 경제적 부담을 크게 낮춰 미술 시장의 대중화를 이끄는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노인식 대구미술협회 회장이 "매년 500점 이상의 작품이 판매되고 1만 명 이상이 관람하는 축제"라고 자부심을 드러낸 만큼, 이번 대구아트페스티벌이 늦가을의 정취 속에서 예술과 함께 숨 쉬는 특별한 시간을 선사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