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도어와 하이브, 경영권 논쟁 속 뉴진스-아일릿 표절 논란 재점화

 하이브와 어도어 간의 경영권 다툼이 점차 확산하면서 뉴진스 표절 논란이 다시 한번 불붙고 있다. 

 

하이브 측이 22일, 어도어의 수장인 민희진 대표가 회사 경영권을 장악하려 한다는 의혹을 제기하면서 이번 갈등이 심화하였다. 이에 대해 민 대표는 주장을 강력히 부인하고 어도어가 하이브의 '뉴진스 베끼기'로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며 대응에 나섰다.

 

민 대표는 이날 인터뷰에서 "어도어 경영권을 탈취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명확히 밝히며 이 같은 발언은 어도어가 한 달 전부터 제기한 '뉴진스 표절' 문제를 묵과하는 시도라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하이브는 민 대표가 본사로부터 독립하려는 움직임을 탐지하고 감사권을 발동해 증거 수집에 나섰다고 전해졌다. 

 

어도어는 하이브의 주요 주주로, 하이브는 어도어의 지분 80%를 소유하고 있다. 이번 갈등은 주가 하락으로 이어졌으며, 이에 대한 단기적인 해결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민 대표와 어도어 경영진은 하이브로부터 뉴진스 표절에 대한 입장 표명과 시정 조치를 요구했으나, 지금까지 어떠한 답변도 받지 못했다고 전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이브의 멀티 레이블 체제가 파국에 직면할 가능성도 우려된다. 양사 간의 갈등이 계속되면 하이브의 멀티 레이블 시스템이 붕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문화포털

지지율 12%의 충격… 국민 77%가 등 돌린 '최악의 대통령' 尹

 한국갤럽이 지난 25일부터 27일까지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직 대통령 공과 평가 결과, 역대 대통령에 대한 국민들의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렸다. 이번 조사는 대통령의 공과에 대한 현재 시점의 국민적 인식을 보여주는 지표로, 특히 노무현 전 대통령이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반면, 12·3 비상계엄을 선포했던 윤석열 전 대통령은 가장 부정적인 평가를 기록하며 역사의 냉정한 심판대에 올랐다. 국민들은 각 대통령의 재임 기간 동안의 정책과 리더십, 그리고 퇴임 후 드러난 여러 사건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며 뚜렷한 호오를 드러냈다.'대통령으로서 잘한 일이 많다'는 긍정 평가 항목에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68%라는 압도적인 수치로 1위를 차지했다. 이는 그의 서민적이고 탈권위적인 리더십, 그리고 원칙과 소신을 지키려 했던 모습이 시간이 흐를수록 국민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음을 시사한다. 그 뒤를 이어 산업화 시대를 이끈 박정희 전 대통령이 62%, 민주화와 남북 화해에 기여한 김대중 전 대통령이 60%로 나란히 60%가 넘는 높은 지지를 받았다. 이념적 성향이 다른 세 명의 대통령이 모두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점은 국민들이 특정 이념을 넘어 각 대통령의 시대적 공헌을 인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금융실명제 등 개혁을 단행한 김영삼 전 대통령은 42%로 그 뒤를 이었다.반면 '잘못한 일이 많다'는 부정 평가는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집중되었다. 응답자의 77%가 윤 전 대통령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이는 12·3 비상계엄 사태라는 헌정사 초유의 사건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그에 대한 긍정 평가는 12%에 불과해, 지난해 12월 마지막으로 기록된 직무 긍정률과 비슷한 수준에 머무르며 국민적 신임을 완전히 잃었음을 증명했다. 군부 독재의 상징인 전두환 전 대통령이 68%, 탄핵으로 임기를 마치지 못한 박근혜 전 대통령이 65%, 그리고 신군부 출신인 노태우 전 대통령이 50%로 뒤를 이으며, 민주주의를 후퇴시키거나 권위주의적 통치를 행한 인물들이 여전히 높은 부정 평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한편 이승만, 이명박, 문재인 전 대통령은 긍정 평가가 30%대에 머무르고 부정 평가는 40%대를 기록하며, 공과에 대한 평가가 팽팽하게 맞서거나 다소 부정적인 여론이 우세한 모습을 보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무작위 추출해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응답률은 11.9%,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또는 한국갤럽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