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올림픽에서 빛난 한국 선수들..올림픽 포상금 15억 원 지원

 국민체육진흥공단은 파리 올림픽 관련 경기력 성과에 대한 포상금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총 96명이 약 15억원의 포상금을 지급받을 예정이며, 이는 선수들이 국제경기에서 거둔 성과를 보상하고 안정된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포상금 제도는 1974년에 도입되어 현재까지 2500억 원이 넘는 금액이 지급되었으며, 선수들은 월정금(연금 형태) 또는 일시금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선수들은 월정금을 선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파리 올림픽에서는 총 23명이 신규 포상금 대상자로 선정되었고, 이 중 탁구 신유빈(대한항공)과 수영 김우민(강원도청) 등 10명은 기존 포상금의 증액을 받게 된다. 월정금 한도 100만 원에 도달한 선수들은 일시금으로 장려금을 추가로 지급받게 된다. 양궁 김우진(청주시청)과 펜싱 오상욱(대전광역시청) 등 17명이 이에 해당한다.

 

국민체육진흥공단 관계자는 "대한민국 선수들이 국제경기에서 뛰어난 성과 거둬 충분한 보상을 통해 이들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안정된 생활을 지원하겠다"며 "이번 포상금 제도가 선수들의 사기를 높이고, 앞으로도 세계 무대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국은 이번 파리 올림픽에 48년 만에 최소 인원(21개 종목 144명)으로 참가했지만, 총 32개의 메달(금 13, 은 9, 동 10)을 획득하여 종합 순위 8위에 오르며 훌륭한 성적을 거두었다.

 

문화포털

부산역 근처냐, 금융단지냐... 800명 해수부 직원들 '거처 전쟁' 시작됐다

 이재명 대통령의 "해수부 연내 이전을 검토하라"는 지시에 따라 부산시가 해양수산부 임시 청사 후보지 물색에 적극 나서고 있다. 부산시는 최근 해수부 직원 8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의 공실 건물 명단을 해수부에 제출했다고 2일 밝혔다.부산시는 16개 구·군으로부터 약 1만 4000㎡ 면적의 임차 가능한 민간·공공건물 현황을 조사했으며, 최종적으로 5곳 이상의 건물 명단을 해수부에 전달했다. 부산시와 해수부 직원들은 이미 해당 건물들을 직접 방문하여 임대 가능성까지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수부는 부산에 정식 청사를 마련하기까지 수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임시 청사 확보에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다.임시 청사 선정에 있어 해수부가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요소는 규모, 보안, 교통 세 가지다. 약 800명의 직원을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갖추면서도, 부산역과 가까워 이동이 편리해야 한다. 또한 정부 기관으로서 적절한 보안 시설도 필수적이다.가장 유력한 후보지로는 북항과 인접한 중구와 동구 등 부산 원도심이 꼽힌다. 중구는 해양, 수산, 물류 회사가 밀집한 중앙동이 있어 업무 연계성이 높고, 동구는 부산역과 북항에 가까워 접근성이 뛰어나다. 구체적으로 동구의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5층, 약 1만 1000㎡)와 중구의 세관 임시 사용 건물이 후보로 거론된다. 또한 중구 중앙동 부산우체국 인근 사무실 공실도 후보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부산진구 서면 일대의 민간 건물들과 금융 공기업이 밀집한 남구 문현금융단지도 유력 후보지로 부상했다. 반면 부경대 용당캠퍼스와 옛 부산외대 부지는 리모델링 공사가 필요해 현재로서는 후보에서 제외된 상태다.부산 지역에서 800명 규모의 직원을 한 번에 수용할 수 있는 단독 건물을 찾기가 쉽지 않아, 인접한 두 건물을 함께 임차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다만 이 경우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가능하다면 단독 건물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전망이다.부산시 해수부 이전 지원팀 관계자는 "부산에 약 800명의 규모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건물이 많지 않았다"며 "일단 해수부로 후보지 명단을 제출한 상태고, 해수부와 임시 청사 건물 마련을 위해 협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해수부는 지난 1일 '해수부 부산 이전 준비 TF'를 '해수부 부산 이전 추진 기획단'으로 확대·개편했다. 이 기획단은 부산시가 제출한 후보지를 토대로 임시 청사를 선정할 방침이다. 해수부의 부산 이전은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 사항으로, 해양산업 허브 도시로서 부산의 위상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임시 청사 선정 과정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며, 최종 결정까지는 해수부와 부산시 간의 긴밀한 협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부산 시민들은 해수부 이전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