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자도 '제철'이 있다? 1년에 다섯 달만 만나는 제철 감자칩

 과자 시장은 10~30대 젊은 소비층을 중심으로 트렌디하게 움직이지만, 결국 인기 제품은 한정적이다. 최근 10년간 매출 상위권에 오른 과자는 해태제과의 허니버터칩과 오리온의 꼬북칩 정도로, 나머지는 중장년층이 선호하는 제품들이었다. 포카칩은 1992년 출시 이후 30년 이상 사랑받으며, 2023년 소매시장에서 3위를 기록했다.

 

포카칩은 매년 5월부터 10월까지는 국산 햇감자를 사용해 제조된다. 오리온은 이 시기에 두백과 진서 품종의 감자를 사용하여 신선한 맛을 선보인다. 반면, 11월부터 5월까지는 수입 감자를 사용한다. 국산 감자는 수확 직후 생산에 투입되어 품질이 뛰어나며,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차별화된 맛이 인식되고 있다.

 

2021년 말부터 2022년 초까지의 수입 감자 시즌 매출은 329억 원이었으나, 국산 감자 시즌에는 10% 증가한 361억 원이 팔렸다. 2023년에는 국산 감자 시즌에 525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35% 이상의 성장을 보였다. 이는 '햇감자칩'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진 결과로 분석된다.

 

제철 감자를 사용한 포카칩의 한정판 특성은 젊은 소비자들의 욕구를 자극한다. 이는 자연스럽게 공급이 조절되면서 형성된 한정판 마케팅으로, 소비자들에게 신선함을 제공한다.

 

2024년에도 오리온은 햇감자 포카칩을 내놓으며 매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6월과 7월 두 달간 244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2015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제철 과자의 맛과 함께 올림픽 이슈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문화포털

네타냐후 ‘가자 점령’ 강행 선언..국제사회 비난 물결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전체를 장악하겠다는 의지를 공식적으로 천명한 가운데,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이번 군사작전의 목표가 전쟁 연장이 아니라 종식에 있음을 명확히 했다. 10일 현지시간, 네타냐후 총리는 예루살렘 총리실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하마스를 패배시키고 임무를 완수하는 것 외에 이스라엘의 선택지는 없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의 목표는 가자지구를 점령하는 것이 아니라 해방하는 것”이라며 “하마스나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와 연계되지 않은 민간 행정부를 수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네타냐후 총리는 현재 가자지구의 70~75%가 이스라엘의 통제 하에 있다며, 북부 가자시티와 중부 해변 캠프에 남아 있는 하마스 거점 두 곳을 공격 목표로 제시했다. 이어 “우리 전쟁을 승리로 끝내겠다는 결심이 확고하며, 예비군의 노고를 알기에 최대한 빨리 전쟁을 끝내고자 한다. 가자시티 장악에 걸리는 시간표를 단축하라고 군에 지시했다”고 말했다.지난 8일 안보 내각 회의에서 제시한 하마스 무장해제, 모든 인질 귀환, 가자지구 비무장화,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안보 통제, 하마스 및 PA가 아닌 대안 민간 행정부 수립 등 5대 원칙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며, 네타냐후는 하마스가 휴전 협상 과정에서 이스라엘군 완전 철수와 팔레스타인 테러리스트 석방을 요구한 것은 “어떠한 책임 있는 정부도 받아들일 수 없는 항복 조건”이라고 강도 높게 비난했다.기자회견 도중 네타냐후는 “눈을 떠라, 하마스의 거짓말”, “가짜로 굶주리는 아이들”이라는 문구를 띄워 하마스가 가자지구의 기아 상황을 왜곡하는 선전전을 벌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하마스가 유전병 등으로 앙상한 아이들의 사진을 굶주린 아이들 사진으로 조작해 전 세계에 가짜 뉴스를 퍼뜨리고 있다”며 “이것은 전 세계적인 가짜 뉴스 캠페인”이라고 비난했다.또한 그는 하마스가 인도적 구호물자를 빼앗아 주민들에게 제대로 배분하지 않아 아사 위기가 발생했다고 지적하며, “가자지구에서 구호물자의 안전한 통행과 배포를 위한 통로를 지정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10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는 네타냐후 총리에게 가자지구 완전 점령 계획의 철회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긴급 안보리 회의는 이스라엘 안보 내각이 지난 8일 가자시티 무력 점령 계획을 승인한 직후 이례적으로 소집됐다.유럽·중앙아시아·아메리카 담당 유엔 사무차장보 미로슬라브 옌차는 개회사에서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군사작전 확대는 광범위한 파장을 불러올 수 있다”며 “이는 더 많은 강제이주와 살인, 파괴를 야기해 주민 고통을 가중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의 라메쉬 라자싱감 역시 “가자지구의 기아는 닥쳐오는 위기가 아닌 단순한 굶주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영국 차석대사 제임스 카리우크는 “군사작전 확대는 갈등 종식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으며, 더 많은 유혈사태로 이어질 뿐”이라며 이스라엘 내각에 결정 철회를 촉구했다. 프랑스, 덴마크, 그리스, 슬로베니아 등 다수 국가 대표들도 “이는 인질 귀환에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그들의 목숨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며 철회를 압박했다.중국은 “가자지구 주민에 대한 ‘집단 처벌’을 용납할 수 없다”고 지적했고, 러시아도 “무모한 적대 행위의 심화”를 우려했다.반면 미국은 이스라엘의 입장을 강력히 옹호하며, 서방 주요국의 이스라엘 압박이 사실상 하마스를 돕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도로시 셰이 미국 대사 대행은 “미국은 인질 구출과 전쟁 종식을 위해 쉼 없이 노력해왔으며, 이번 회의가 그것을 훼손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스라엘은 자국 안보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결정할 권리가 있으며, 하마스가 인질과 가자지구를 해방시키면 전쟁은 즉시 끝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군사적 충돌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네타냐후 총리는 하마스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유지하며 가자지구 내 하마스 거점 지역을 집중 공격할 것임을 재확인했다. 국제사회는 인도적 위기 심화와 민간인 피해 우려를 토대로 이스라엘에 군사작전 확대 계획 철회를 촉구하고 있으나, 이스라엘은 안보를 명분으로 전쟁의 종식을 위해 군사행동을 지속한다는 입장을 굳히고 있어 긴장과 갈등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