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 터지게' 꽃게 먹을 날이 왔다

 대형마트 3사가 꽃게 할인 판매 경쟁에 나섰다. 해양수산부가 함께 진행하는 수산대전 행사에서 롯데마트는 100g당 893원, 이마트는 950원, 홈플러스는 990원에 꽃게를 판매한다. 특히 롯데마트는 2024년 들어 처음 어획한 신선한 햇꽃게를 최저가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롯데마트는 주요 산지인 전북 부안과 충남 태안에서 꽃게 선단과 사전 계약을 체결해 물량을 확보했다. 패킹장도 늘려 기상 변화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서해안 주요 항구에 상품기획자를 배치할 계획이다. 어획한 꽃게는 냉수에 담가 기절시킨 후 톱밥으로 포장해 직송한다.

 

이마트는 태안 신진도에서 잡은 가을 햇꽃게를 특가에 판매하며, 1㎏에 9500원에 4∼6마리를 구매할 수 있다. 이마트는 고객 수요에 맞춰 다양한 포장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가을 꽃게는 살이 통통해 요리에 적합하다.

 

이마트의 꽃게 매출은 가을 햇꽃게 출하 시점부터 10월까지 연간 매출의 70%를 차지한다. 이마트에브리데이에서도 저렴한 가격으로 햇꽃게를 판매하며, 국산 새우와 함께 구매 시 20% 할인을 제공하는 행사도 진행한다.

 

홈플러스는 여름 마지막 슈퍼세일 행사에서 냉수마찰 기절꽃게를 판매하며, 신선한 꽃게를 톱밥에 포장해 전국 매장에서 제공한다. 각 대형마트는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며 경쟁을 이어가고 있다.

 

문화포털

마지막 관문 하나 남았다… 대한민국 최초 '도심 국립공원' 탄생 임박

 부산의 상징과도 같은 금정산이 '대한민국 1호 도심형 국립공원'이라는 새로운 역사를 쓰기 위한 마지막 발걸음을 내디뎠다. 최근 중앙산지관리위원회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잇달아 통과하며 9부 능선을 넘었고, 이제 최종 결정 단계인 국립공원위원회 심의만을 남겨두고 있다. 이 중요한 시점에 박형준 부산시장과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직접 금정산 국립공원 예정지를 찾아 생태 및 문화자원 현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금정산의 국립공원 지정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지정 이후의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한 현장 행보로 풀이된다. 두 사람은 천연습지와 희귀 생물종이 서식하는 남문습지 일대를 둘러보며 금정산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시민들과 함께 상생할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금정산이 국립공원으로서 높은 가치를 인정받는 이유는 단순히 도심에 가까이 있다는 지리적 이점 때문만이 아니다. 2020년부터 2년간 진행된 국립공원 지정 타당성 조사 결과는 금정산이 얼마나 풍부한 생명력과 유산을 품고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조사에 따르면 이곳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13종을 포함해 무려 1782종에 달하는 야생생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금정산이 낙동정맥을 잇는 국가의 핵심 생태축으로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증명하는 대목이다. 생태적 가치뿐만 아니라, 금정산은 71곳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127점의 유구한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어 '생태·경관·문화'의 삼박자를 완벽하게 갖춘 명산으로 평가받는다. 그야말로 살아있는 자연사 박물관이자 역사 문화의 현장인 셈이다.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은 20년이라는 긴 세월에 걸친 시민들의 염원과 부산시의 노력이 빚어낸 결실이다. 2005년 시민 사회의 여론으로 시작된 논의는 2019년 6월 부산시가 환경부에 공식 건의하면서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 이후 국립공원 지정이라는 목표를 향해 타당성 조사, 수차례의 주민공람과 설명회, 공청회, 관계 부처 협의 등 복잡하고 지난한 행정 절차를 차근차근 밟아왔다. 특히 이 과정에서 김성환 장관은 양산시 호포마을과 부산 범어사를 직접 방문하는 등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며 국립공원 지정에 대한 지역 사회의 공감대를 넓히는 데 힘썼다. 이처럼 오랜 기간 수많은 사람의 땀과 노력이 더해졌기에 마지막 관문을 앞둔 지금, 시민들의 기대감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이제 금정산은 대한민국 최초의 도심형 국립공원으로서 새로운 미래를 꿈꾸고 있다. 박형준 시장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마지막 국립공원위원회 심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짓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단순히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는 것을 넘어, 시민과 함께 가꾸고 지켜나가는 지속 가능한 보전·관리 체계를 구축해 금정산을 전 세계에 내놓아도 손색없는 도심형 국립공원의 선도 모델로 발전시키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금정산이 품고 있는 천혜의 자연과 풍부한 문화유산을 미래 세대에게 온전히 물려주고, 동시에 시민들에게는 더 수준 높은 휴식과 생태 교육의 공간을 제공하는 것, 그것이 바로 금정산 국립공원이 나아갈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