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혜희 아버지' 결국 실종된 딸 찾지 못하고 사망

 25년간 실종된 딸 송혜희를 찾기 위해 노력해 온 송길용(71) 씨가 결국 딸을 찾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다. 송 씨의 빈소를 찾은 나주봉 회장은 그를 "가장 훌륭한 아버지"라며 그의 헌신을 애도했다. 빈소에는 송 씨의 딸을 찾기 위한 그의 평생의 노력을 기리는 이들이 모였다.

 

송 씨는 8월 26일 경기 평택에서 덤프트럭에 치여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이송되었으나 끝내 숨졌다. 경찰은 그의 지병을 고려하여 조사를 진행 중이다. 송 씨의 딸 혜희는 1999년 2월, 귀갓길에 실종됐다.

 

송 씨는 생전 인터뷰에서 "혜희는 살아있을 것"이라며 딸을 찾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그는 25년 동안 전단지를 제작하고 배포하며 딸을 찾기 위해 전국을 돌아다녔다. 심근경색과 코로나19로 입원한 후에도 전단지 제작을 의뢰하는 등 끊임없이 노력했다.

 

그가 만든 전단지와 플래카드는 전국에 걸쳐 배포되었으며, 송 씨는 혜희의 사진을 부착한 차량을 운전하며 실종 장소를 찾아다녔다. 유족 측은 그동안 관심을 가져준 분들에게 감사의 뜻을 표했다. 송 씨의 발인은 29일 오전 6시에 진행된다.

 

문화포털

"연결이냐, 고립이냐"… 이재명 대통령, 트럼프 불참한 APEC서 던진 승부수는?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경주에서 개막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첫 공식 일정인 '초청국과의 비공식 대화' 세션을 직접 주재하며 다자외교 무대의 중심에 섰다. 천년고도 경주에서 열린 이번 회의는 '더욱 연결되고, 복원력 있는 세계를 향하여'라는 대주제 아래,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미래 경제 질서를 논의하는 중대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이 대통령은 의장국 정상으로서 각국 정상들을 맞이하고 첫 세션의 의사봉을 잡음으로써, 글로벌 경제 현안에 대한 대한민국의 주도적인 역할을 세계에 각인시키는 첫발을 내디뎠다. 대통령실은 이번 세션이 정해진 의제에 얽매이지 않고 정상들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하는 비공식 대화 형식으로 진행되어, 보다 솔직하고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이번 정상회의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를 비롯한 APEC 21개 회원국 정상 대부분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냈다. 다만, 가장 큰 관심을 모았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불참했으며, 대신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대표로 참석했다. 미국의 정상 불참은 여러 외교적 해석을 낳으며 회의 시작 전부터 미묘한 긴장감을 형성했다. 이와 함께 초청국 자격으로 참석한 아랍에미리트(UAE)의 칼리드 빈 모하메드 알 나흐얀 아부다비 왕세자와 국제통화기금(IMF)의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 등 주요 국제기구 및 파트너 국가 인사들의 참석은 이번 회의가 다룰 의제의 폭과 깊이를 짐작하게 했다. 각국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엇갈리는 상황에서 정상들의 좌석 배치와 발언 순서 하나하나에도 국제정세의 역학 관계가 고스란히 투영되었다.이 대통령이 주재한 첫 세션에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더욱 개방적이고 역동적이며, 외부 충격에 강한 회복력 있는 경제 공동체로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이 테이블 위에 올랐다. 특히 △팬데믹 이후 위축된 역내 무역과 투자 촉진 방안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기 위한 경제적 연결성 강화 △그리고 민간 부문의 혁신 잠재력을 최대한 이끌어내기 위한 민관 협력 모델 구축이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이 대통령은 이 과정에서 특정국의 입장을 대변하기보다는, APEC 회원국 모두가 상호 협력의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공동 번영의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중재자이자 촉진자로서의 '가교 역할'을 적극 수행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대통령실은 이번 회의를 통해 이재명 대통령이 역내 협력의 동력을 복원하고, APEC이 이름뿐인 협의체가 아닌 미래에도 실질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는 최고 경제 플랫폼으로 재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복잡하게 얽힌 국제 정세와 경제 위기 속에서 대한민국이 제시하는 비전과 구체적인 협력 방안이 APEC의 미래 방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번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는 이 대통령의 외교 리더십을 평가하는 중요한 시험대이자, 글로벌 중추 국가로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한 단계 격상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