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훈아, 할 말은 하고 간다! 은퇴 무대서 정치권 저격

‘가황’ 나훈아가 은퇴 투어를 마무리하며 59년의 가수 인생에 마침표를 찍었다. 그러나 이번 공연은 음악적 업적보다 정치적 발언으로 더 큰 화제를 모았다. 나훈아는 12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KSPO돔에서 진행된 ‘2024 고마웠습니다-라스트 콘서트’를 성황리에 마무리하며 은퇴를 선언했다.

 

나훈아는 지난해 2월 전격적으로 은퇴를 발표하며, 두 달 후부터 은퇴 투어를 시작했다. 이 투어는 인천, 광주, 울산, 대구, 부산 등 전국 14개 도시를 거쳐 서울에서 대미를 장식했다. 공연 중 나훈아는 “절대 울지 않고 씩씩하게 더 신명나게 잘하겠다”며, 70세가 넘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2시간 30분의 긴 러닝타임을 소화하며 현역 가수 못지않은 에너지로 관객을 사로잡았다. 그는 “한 번 말했으니 할 수 없다”며 은퇴 번복 의사를 분명히 했다. 

 

나훈아는 공연 중 스타로서의 삶을 넘어서 평범한 일상에 대한 갈망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그동안 구름 위를 걸어다니고 별 밖 하늘에서만 살았는데 이제는 땅에 걸어다니겠다”고 언급하며, 은퇴를 결심하게 된 이유를 설명했다.

 

하지만 그의 은퇴 콘서트는 음악적인 감동보다 정치적 발언으로 큰 논란을 일으켰다. 특히 공연이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 이후 진행된 만큼, 나훈아의 정치적 발언은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었다. 그는 10일 공연 중 “왼쪽이 오른쪽을 보고 잘못했다고 생난리를 치고 있다”고 말하며 정치권에 대해 쓴소리를 내놓았다. 이는 여당과 야당의 갈등을 비판한 것으로 보였다. 또한 그는 “어머니는 형제가 어떤 이유로도 싸우면 안 된다고 하셨다. 지금의 상황은 과연 국가를 위한 일인지 묻고 싶다”고 덧붙였다.

 

 

이 발언은 즉시 정치권을 중심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나훈아의 발언은 동의하기 어렵다”며 ‘양비론’적인 태도를 비판했다. 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세상일에 눈 감고 살았으면 은퇴하고 조용히 갔어야 한다”며 나훈아의 발언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대한민국을 정상적으로 되돌리기 위해 우리 국민이 어떻게 행동하고 있는지 알고 그런 말을 하는 것인지 묻고 싶다”며 나훈아의 태도를 비난했다.

 

그러나 나훈아는 공연 중 이러한 비판에 대해 반박했다. 그는 “왼쪽만 못했고 오른쪽은 잘했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니는 잘했나’라고 한 것”이라며 발언의 의도를 설명했다. 그는 야당의 비판에 대해 “저것들, 자기 일이나 똑바로 하라”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이와 같은 발언은 공연의 마지막 날까지 계속 이어졌다. 나훈아는 “여러분이 뭐라고 하시면 인정하겠다. 하지만 정치권은 내가 절대 용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나훈아의 정치적 발언을 두고 온라인에서는 찬반 논란이 일었다. 일부 누리꾼들은 나훈아의 발언이 부적절했다고 비판하며, "계엄 사태에 대한 나훈아의 인식이 아쉽다"고 지적했다. 반면, 일부는 나훈아의 직설적인 발언을 지지하며 “그가 할 말은 했다”는 입장을 보였다.

 

한편, 나훈아는 1966년 ‘천리길’로 가요계에 데뷔한 이후, ‘명자’, ‘홍시’, ‘사랑’, ‘무시로’, ‘울긴 왜 울어’, ‘사모’, ‘정이 웬수야’ 등 수많은 히트곡으로 팬들의 사랑을 받았다. 그의 은퇴는 가요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번 공연은 그가 가수로서 쌓아온 오랜 역사를 마무리하는 중요한 순간이었다.

 

문화포털

통일교 'YTN 인수' 위해 '김건희 금품 전달'

 윤석열 정부의 캄보디아 사업과 관련하여, 통일교의 전직 고위 간부가 주도한 프로젝트가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해당 사업은 "메콩 평화공원"이라는 이름으로 캄보디아 메콩강 지역의 365만㎡ 부지에서 주거, 무역, 관광 등 대규모 복합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사업은 윤아무개 씨가 주도하며, 윤 씨는 가정연합 세계본부장직을 맡고 있었고, 사업 진행 과정에서 법무법인과 대기업들과의 접촉을 통해 자문을 구했다. 하지만 해당 사업은 여러 법무법인에서 "불투명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부산저축은행의 실패한 캄보디아 신도시 개발 프로젝트와 유사한 점이 많다는 지적을 받았다.윤 씨는 사업의 구체적인 내용을 논의하기 위해 여러 법무법인에 자문을 구했지만, 대형 로펌인 L사는 사업 내용이 불투명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L사는 사업의 진행을 위해서는 다양한 사항들이 명확히 해야 한다고 지적했으며, 특히 캄보디아 국가와 지방정부, 제3자 간의 관계를 분명히 하고, 개발권 등의 구체적인 내용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사업에 필요한 투자금액이 과도하게 비현실적이라고 언급하며, 그 규모가 현재 현지 상황에 비해 지나치게 부족하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지적에도 불구하고, 윤 씨는 사업을 강행했다. 윤 씨는 또한 특수통 검사장 출신의 변호사들과 함께 '캄보디아팀'을 조직해 사업을 진행했으며, 이를 통해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독대를 통해 사업에 대한 청탁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윤 씨는 2022년 3월, 윤 전 대통령과 독대 후, 캄보디아의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수주받기 위한 청탁을 했다고 전해진다. 윤 씨는 이 과정에서 자신의 사업을 정부의 지원을 통해 진행하려는 의도를 밝혔으며, 이를 위해 특정 로비 창구를 통해 청탁을 시도했다고 한다.검찰은 이와 관련하여 윤 씨와 함께 사업에 연루된 인물들을 대상으로 수사를 벌이고 있다. 특히, 윤 전 대통령 부부가 거주하는 서울 서초동의 아크로비스타 사저를 압수수색해 김 여사의 휴대전화와 메모를 확보하는 등의 작업을 진행했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전 씨와 윤 씨가 청탁금지법 위반 등의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으며, 김 여사는 참고인 신분으로 수사에 협조하고 있다.이 사건은 캄보디아 사업뿐만 아니라, 정부의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통한 이권 개입 의혹을 포함하고 있다. 검찰은 이와 관련된 대화 내역과 관련 자료들을 확보하고 있으며, 김 여사의 휴대전화 포렌식을 통해 사업과 관련된 모든 정황을 확인할 예정이다. 이 사건의 핵심은, 윤 씨가 사업을 추진하며 정부와의 연관성을 확립하려 했고, 이를 위해 윤 전 대통령과 김 여사에게 청탁을 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김 여사는 검찰의 수사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내놓았고, 공정한 수사를 요구하고 있다.이 사건은 단순히 캄보디아 사업의 논란을 넘어서, 윤석열 정부의 공직자 및 가족들이 연루된 대형 로비 의혹으로 확대되고 있다. 검찰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사를 진행 중이며,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증거들이 공개될 경우 사건은 더욱 큰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