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원래 보수다?... 이재명의 충격적 고백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정치적 스펙트럼에서 민주당의 위치를 전면 재조정하는 파격적인 발언을 해 정가에 큰 파장이 일고 있다. 이 대표는 18일 유튜브 채널 '새날' 출연에서 "우리는 진보가 아니다"라며 "민주당은 중도 보수로, 오른쪽을 맡아야 한다"고 선언했다.

 

이는 민주당의 전통적인 정체성은 물론, 이 대표 자신의 과거 행보와도 정면으로 배치되는 발언이다. 특히 진보 진영의 대표적 정당을 자처해온 민주당의 역사를 고려할 때, 이러한 급격한 노선 전환은 당내외에서 상당한 논란을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표는 인터뷰에서 "진보진영은 새롭게 구축돼야 한다"고 강조하며, 민주당의 실제 위치가 "중도보수 정도의 포지션"이라고 규정했다. 더불어 현 여당인 국민의힘을 겨냥해 "보수는 건전한 질서와 가치를 지키는 집단인데, (국민의힘은) 헌정질서를 스스로 파괴하고 있다"고 신랄하게 비판했다.

 

최근 논란이 된 반도체특별법 입법 과정에서 불거진 '우클릭' 논란에 대해서도 이 대표는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우리는 '우클릭'하지 않았다. 원래 우리 자리에 있었다"며 우클릭 논란 자체를 '프레임'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나 이러한 발언은 이 대표의 과거 행보와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지난해 2월 총선을 앞두고 이 대표는 통합비례정당 창당 과정에서 "진보개혁 진영의 맏형으로서 책임에 상응하는 권한도 당연히 가지는 것이 상식"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2023년에는 당 을지로위원회의 '민주당 재집권전략보고서' 추천사를 통해 "을(乙)과 함께 더 단단하게 연대하는 진보적 대중정당, 양극화와 불평등 구조를 개혁하는 유능한 민생정당이 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더욱이 2022년 전당대회에서는 사회 구조의 양극화를 지적하며 "서민과 중산층의 정당이 아닌 진보적 대중정당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시 발언은 민주당의 전통적인 정체성을 넘어 보다 진보적인 색채를 강화하자는 취지였다는 점에서, 이번 발언과는 정반대의 방향성을 보여준다.

 

특히 이러한 급선회는 민주당의 역사적 맥락에서도 이례적이다. 이명박·박근혜 정부 시기 이후 민주당 지도부는 일관되게 진보 정체성을 강조해왔다. 대표적으로 문재인 전 대통령은 2011년 민주통합당 창당 과정에서 "야권 대통합의 목적은 총선·대선 승리가 아니라 정권교체를 통해 진보개혁진영의 공동·연합정부를 구성하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 대표의 이번 발언은 단순한 정책적 조정을 넘어 민주당의 근본적인 정체성 변화를 시사하는 것으로, 향후 한국 정치 지형에 상당한 변화를 몰고 올 것으로 전망된다.

 

문화포털

클림트, 죽어서도 신기록…현대미술 최고가 3,460억 원에 낙찰

 오스트리아를 대표하는 거장 구스타프 클림트가 말년에 그린 초상화 한 점이 미술계의 역사를 새로 썼다. 현지시간 18일 저녁, 미국 뉴욕 소더비 경매에서 클림트의 '엘리자베스 레더러의 초상'이 수수료를 포함해 무려 2억 3,640만 달러, 우리 돈으로 약 3,460억 원이라는 천문학적인 금액에 낙찰되며 현대미술품 경매 사상 최고가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이는 2023년에 세워진 클림트 자신의 기존 최고가(1억 800만 달러)를 2배 이상 훌쩍 뛰어넘는 금액이다. 20분간 이어진 팽팽한 응찰 경쟁은 현장의 모든 이들을 숨죽이게 했으며, 최종 낙찰이 결정되는 순간 장내에서는 탄성과 함께 뜨거운 박수갈채가 터져 나왔다. 낙찰자의 신원은 공개되지 않았다.이번에 새 주인을 찾은 '엘리자베스 레더러의 초상'은 클림트가 1914년에서 1916년 사이에 그의 후원자였던 인물의 스무 살 딸을 모델로 그린 작품이다. 특히 이 그림은 클림트의 전체 작품을 통틀어 단 두 점밖에 존재하지 않는 전신 초상화 중 하나라는 점에서 희소성이 매우 높다. 이 걸작은 지난 40년간 세계적인 화장품 회사 에스티 로더의 창립자 에스티 로더의 아들, 레너드 로더의 뉴욕 자택에 걸려 있었다. 하지만 지난 6월 레너드 로더가 세상을 떠나면서, 그가 평생에 걸쳐 수집한 방대한 예술품들이 이번 경매를 통해 세상에 나오게 된 것이다. 한 개인의 서재에 머물던 작품이 경매장에 등장하자마자 세계 미술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게 된 셈이다.이번 경매에서는 클림트의 작품만큼이나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킨 또 다른 작품이 있었으니, 바로 이탈리아 출신의 설치미술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황금 변기 '아메리카'다. 이 작품은 2019년 윈스턴 처칠 전 영국 총리의 생가에서 도난당해 더욱 유명해진 바로 그 황금 변기의 자매품으로, 무려 18캐럿 순금 약 91kg이 사용되어 제작되었다. 경매 시작가는 순수하게 금 시세에 따라 정해질 예정이며, 작품의 특이성 때문에 사방이 유리로 된 작은 화장실 공간에 별도로 설치되어 관람객들을 맞았다. 작품을 보려는 이들이 길게 줄을 섰고, 그 앞에는 '보기만 하고 만지지 마시오'라는 안내문이 붙어 진풍경을 연출했다.클림트 작품의 기록적인 낙찰은 단순히 개별 작품의 가치를 넘어, 지난 2년간 침체일로를 걷던 미술 시장 전체에 활력을 불어넣을 기폭제가 될지 주목받고 있다. 전 세계 미술품 및 골동품 판매가 2년 연속 감소하고 여러 갤러리가 문을 닫는 등 위축되었던 시장 상황 속에서 이번 경매는 중요한 시험대였다. 소더비 측은 이번 주에 앙리 마티스, 제프 쿤스 등 거장들의 작품을 연이어 경매에 부치며 총 10억 달러(약 1조 4,600억 원) 이상의 판매고를 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 점의 그림이 쏘아 올린 신기록이 얼어붙었던 미술 시장에 따뜻한 봄을 불러올 수 있을지 전 세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