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방 48시간 만에 '관저 정치' 재개... 윤석열의 충격적 뒷거래 폭로될 듯

 관저로 복귀한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9일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를 만나 정치 행보를 재개했다. 이는 윤 대통령이 구치소에서 석방된 지 불과 이틀 만에 이루어진 정치적 접촉으로,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민의힘 신동욱 수석대변인의 10일 발표에 따르면, 권영세 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는 전날 오후 8시부터 30분간 대통령 관저를 방문해 윤 대통령과 환담을 나눴다.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은 차를 마시며 수감 생활 중 느꼈던 소회를 털어놓았으며, 특히 두 당 지도부 인사에게 "당을 잘 운영해줘서 고맙다"는 감사 인사를 전했다고 한다.

 

윤 대통령은 석방 직후인 8일에도 권성동 원내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 일부와 나경원, 윤상현 의원 등 친윤계 핵심 인사들과 잇따라 통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윤상현 의원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이 "과거 구속 기소당했던 분들, 양승태 전 대법원장과 임종헌 전 법원행정처 차장, 이런 분들 생각이 많이 났다"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이는 윤 대통령이 자신의 구속 경험을 통해 과거 사법부 수장들의 처지를 되돌아보는 감회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대통령실은 당초 윤 대통령의 석방 이후 행보에 대해 "담담하게 헌재 선고를 기다리는 모습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러나 석방 직후부터 여당 인사들과의 적극적인 접촉이 이어지면서, 정치권에서는 윤 대통령이 '관저 정치'를 본격화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윤 대통령의 이러한 행보는 헌법재판소의 최종 판결을 앞두고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려는 의도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이 구치소에서의 경험을 정치적 자산으로 활용하려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수감 생활이 오히려 지지층 결집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는 것이다.

 

한편,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 석방 다음날인 9일 오후 정진석 비서실장 주재로 수석비서관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윤 대통령이 석방 후 대통령실 직원들에게 전한 "국가와 국민을 위해 대통령실이 흔들림 없이 국정의 중심을 잘 잡아주길 바란다"는 당부가 전달됐다. 이는 윤 대통령이 자신의 탄핵 정국 속에서도 국정 운영의 안정성을 강조한 메시지로 풀이된다.

 

정치권에서는 윤 대통령의 이러한 행보가 단순한 인사 차원을 넘어 향후 정국 운영의 방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여당 지도부와의 긴밀한 소통은 탄핵 정국에서 여당의 결집력을 높이고, 향후 헌재 심판 과정에서 유리한 여론을 조성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도 있다.

 

야당은 윤 대통령의 이러한 행보에 대해 "헌법재판소의 판단을 앞두고 정치적 압박을 가하려는 의도"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반면 여당 측은 "대통령으로서 당연한 소통"이라며 방어하는 모습이다.

 

향후 윤 대통령이 관저에서 어떤 인사들을 추가로 만나고,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헌재의 최종 판단이 나오기 전까지 윤 대통령의 '관저 정치'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주목된다.

 

문화포털

'성공은 곧 죽음'… 평양 엘리트 사업가 부부, 공개 처형으로 막 내린 비극

 북한 평양에서 전기 자전거 및 오토바이 부품 판매 사업으로 상당한 부를 축적한 50대 부부가 국가에 의해 공개 처형당하는 사건이 발생해 북한 사회 내부에 만연한 통제와 공포 정치의 실상을 여실히 드러냈다. 이들 부부는 사동구역 직업총동맹 중앙위원회에 정식으로 사업을 등록하고 합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활동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성공은 주변의 시기와 질투를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체제에 대한 잠재적 위협으로 간주되었다. 일부 주민들은 부부가 판매하는 상품의 가격과 품질에 대한 불만을 제기했으며, 특히 이들의 '오만한 태도'를 문제 삼아 당국에 비판의 목소리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주민들의 불만은 단순한 민원을 넘어섰고, 이는 부부가 당국의 표적이 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북한 사회에서 '오만함'은 개인의 성공이 공동체나 당의 영광이 아닌 사적인 부와 명예로 귀결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사회주의 체제의 근간을 흔드는 위험한 사상으로 취급된다. 결국 당국은 지난 8월 초, 이들 부부를 전격 체포하여 공동 심문을 진행했다. 한 달여간의 조사가 끝난 9월 초, 부부에게는 사형이 선고되었으며, 이들과 사업적으로 연관된 20여 명의 인물들 또한 추방되거나 재교육형에 처해지는 등 연좌제의 공포가 재현되었다.당국이 부부에게 적용한 혐의는 '반동사상·문화배격법 위반'이었다. 이는 외부 세계와의 교류를 통해 자본주의 사상이나 문화가 유입되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는 북한의 현실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법안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조직과 결탁하여 외화를 불법적으로 유통하고 반국가적 메시지를 퍼뜨렸다는 혐의가 추가되었으나, 실제로는 이들의 경제적 성공과 그로 인한 영향력 확대를 차단하려는 정치적 목적이 더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처형은 약 200여 명의 주민이 지켜보는 가운데 야외에서 공개적으로 집행되었으며, 어린아이들과 학생들까지 동원되어 참혹한 광경을 목격하게 함으로써 공포심을 극대화했다.이번 사건은 북한 당국이 주민들에게 보내는 명백하고도 잔혹한 경고 메시지로 해석된다. 국가가 허용한 제한적인 시장 경제 활동의 범위를 조금이라도 넘어서는 개인의 성공은 결코 용납될 수 없다는 것을 '본보기'를 통해 각인시킨 것이다. 이는 외국과의 협력을 통해 경제적 활로를 모색하더라도, 당의 통제와 내부 규율이라는 대원칙 앞에서는 어떠한 예외도 없음을 분명히 한 조치다. 결국 이번 처형은 자본의 논리가 아닌 체제 유지를 최우선으로 하는 북한 정권의 속성을 재확인시키며, 주민들의 경제 활동 의지를 위축시키고 사회 전반에 대한 통제를 더욱 강화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