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 없다"던 한동훈, 알고보니 이재명에게 '질 자신이 없다'는 뜻이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경선과 대선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질 자신이 없다"고 밝혀 주목을 받고 있다.

 

17일 채널A뉴스 유튜브 '국회의사담 앵커스'에 출연한 한 전 대표는 '경선이나 대선에서 패배하더라도 계속 정치할 건가'라는 질문에 "이세돌 사범이 이런 얘기를 한 적이 있다. '자신이 없다. 질 자신이 없다'"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한 전 대표는 현재의 여론조사 결과보다 이재명 대표의 한계가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표는 확실하게 어떤 넘지 못할 천장에 막혀 있다"며 "지금 우리 보수 지지자들이 갖는 불안감과 공포, 그리고 분노는 '아, 이거 잘못하면 이재명의 위험한 세상이 오겠다'는 그런 공포"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도 "이길 수 있다"는 확신을 내비쳤다.

 

인터뷰에서 한 전 대표는 이재명 대표를 "대한민국에서 가장 위험한 사람"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이재명 대표가 과거에 "권력은 잔인하게 쓰는 거"라고 말한 것을 비판하며 "권력은 국민을 위해 쓰는 것"이라고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앞서 한 전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재명 대표를 "정말 위험한 사람(Most Dangerous Man in Korea)"이라고 표현한 바 있다.

 

한 전 대표는 이재명 대표가 대통령이 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대표가 대통령이 되면 대법원 확정이 되긴 될 것 같다. 그러면 계엄을 하지 않겠나? 국회를 제압하는 계엄은 완전하게 위헌이지만 사법부 제압하는 계엄은 그보다는 더 합헌에 가깝다"며 우려를 표했다. 또한 "자기가 (문제) 되는 범죄들은 다 없애, 그러다가 살인죄도 없앨 것"이라며 극단적인 상황까지 예측했다.

 


한 전 대표는 이재명 대표를 단순히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걸림돌"이라는 이유로 비판한다고 설명했다. "87체제를 극복해야 한다. 그런데 이 대표는 유일하게 호헌 세력"이라고 주장했다.

 

윤석열 대통령과의 관계 악화로 '배신자' 프레임이 씌워진 것에 대해서는 "예상한 것이다. 죽는 길인 걸 알고도 가야 될 때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소신을 밝혔다. 그는 "12월 3일, 그때 나는 당과 상황을 잘 아니까 내가 이렇게 될 거라고 생각했다"며 "나는 대통령을 너무 잘 안다. 그렇게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한 전 대표는 "정치인은 너무 억울해하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억울한 국민들 마음을 풀어줘야지 정치인이 억울해하면 어떡하나"라며 현재의 상황을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였다.

 

한동훈 전 대표의 이번 발언은 차기 대선 구도와 관련해 정치권에 상당한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재명 대표를 향한 강도 높은 비판과 함께 자신의 승리를 확신하는 발언은 앞으로의 정치 행보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문화포털

SK그룹의 '자식 구하기' 혈투... 이번엔 SK에코플랜트에 4,800억 '수혈'

 SK그룹이 또 한 번의 대규모 사업 재편을 단행했다. 이번에는 SK에코플랜트의 생존과 성장을 위한 '수혈 작전'이 핵심이다. SK㈜는 13일, 전날 이사회에서 SK머티리얼즈 산하 반도체 소재 자회사 4곳을 SK에코플랜트로 편입하는 사업구조개편안을 의결했다고 발표했다.이번 결정으로 SK트리켐(지분 65%), SK레조낙(51%), SK머티리얼즈제이엔씨(51%)는 SK㈜의 현물 출자 방식으로,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100%)는 포괄적 주식교환 방식으로 SK에코플랜트 산하로 들어가게 된다. 이를 통해 약 4,800억 원 규모의 자본이 SK에코플랜트에 투입되는 효과가 발생한다.편입되는 4개 회사는 모두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과 밀접한 소재 기업들이다. SK트리켐은 반도체 제조용 전구체, SK레조낙은 식각 가스, SK머티리얼즈제이엔씨는 OLED 소재,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는 반도체 포토 소재를 생산하는 전문 기업들이다. SK㈜ 측은 "SK에코플랜트가 기존 반도체 EPC 사업과 리사이클링 사업에 소재 분야까지 더해 반도체 종합 서비스 기업으로 도약하는 성장 스토리를 구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러나 재계에서는 이번 조치가 SK에코플랜트의 IPO를 위한 '생존 전략'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SK에코플랜트는 2022년 프리 IPO로 1조 원의 자금을 유치하면서 2026년까지 상장을 약속했다. 만약 이 기한을 지키지 못할 경우, 수천억 원의 위약금을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다. 현재 SK에코플랜트의 독자 상장이 어렵다고 판단한 SK그룹이 '고육지책'으로 우량 자회사들을 떼어내 SK에코플랜트에 붙이는 형태의 구조조정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사실 이는 처음이 아니다. SK㈜는 지난해에도 반도체 가공·유통사 에센코어와 산업용 가스 제조업체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를 SK에코플랜트에 편입시켜 재무 건전성을 보강한 바 있다. 이와 함께 이번에는 SK C&C가 보유한 30MW 규모의 판교 데이터센터를 SK브로드밴드에 약 5,000억 원에 매각하는 결정도 내렸다.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주도로 진행되는 이러한 일련의 리밸런싱은 지난해 SK이노베이션과 SK E&S 합병에 이은 두 번째 대규모 사업재편이다. 당시 합병은 전기차 배터리 사업 부진으로 고전하는 SK온을 살리기 위한 조치였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SK온은 지난해 3분기에 11분기 만에 흑자를 기록했으나 곧바로 4분기와 올해 1분기에 다시 각각 3,594억 원, 2,993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SK그룹은 이처럼 그룹 내 주요 자회사들의 생존과 성장을 위해 과감한 구조조정을 이어가고 있다. SK㈜ 관계자는 "중복 사업은 과감하게 통합하고 시너지를 도출해 자회사 지분 가치를 끌어올림으로써 지주사의 기업가치를 높이는 것이 목표"라며 "앞으로도 자회사 성장을 주도하고 재무건전성을 강화하는 지주사 본연의 역할을 적극 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