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 안 마시는 시대… 서울우유, 매출 2조 돌파했지만...

 서울우유협동조합이 2년 연속 '2조 클럽'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서울우유의 매출액은 2조1247억원으로, 2023년(2조1117억원)에 이어 2조원을 넘어섰다.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5.3% 증가한 574억원을 기록했다. 시장점유율 역시 44.9%(2024년 기준)로 국내 유업계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서울우유의 성장 비결은 '본업 집중'이었다. 지난해 4월 출시한 'A2+우유'가 대표적이다. A2+우유는 A2 단백질 유전형질을 가진 젖소만 분리·집유한 제품으로, 체세포수 1등급·세균수 1A등급의 고품질 원유를 사용한다. 생산 과정에서도 4단계의 A2검사와 세균·미생물을 추가 제거하는 EFL(Extended Fresh Life) 공법을 적용해 품질을 높였다.

 

일반 우유보다 가격이 46% 비싼데도 A2+우유의 누적 판매량은 올해 1월 기준 3750만개를 돌파했다. 서울우유의 대표 흰우유 '나100%'가 2960원(1000mL)인 반면, A2+우유는 3880원(900mL)으로 100mL당 가격이 431원으로 '나100%'(296원)보다 훨씬 비싸다.

 

또한 2022년 설립한 아시아 최대 규모의 양주통합 공장도 실적 향상에 기여했다. 안정적인 제조 경쟁력과 물류 효율화가 시너지를 냈다는 평가다. 문진섭 서울우유협동조합 조합장은 "서울우유가 가장 잘하는 본업에 집중한 전략이 제대로 통해 2년 연속 연 매출 2조원 돌파라는 쾌거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그러나 서울우유의 앞길이 순탄하지만은 않다. 저출생과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우유 소비 감소'라는 위기가 도사리고 있다.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의 '2024 우유·유제품 소비행태 조사'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 10명 중 3명(31.7%)은 최근 1년간 우유 소비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성도 개선해야 할 과제다. 서울우유의 영업이익률은 2022년부터 2%대에 머물고 있어, 경쟁사 매일유업의 최근 5개년 영업이익률 평균치 5%대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대외적 위협도 심상치 않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2025'에 따르면 지난해 멸균유 수입량은 4만9000톤으로 전년 대비 30.2% 증가했다. 2017년 3440톤과 비교하면 14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더욱이 2026년부터는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수입 유제품에 무관세(관세율 0%)를 적용할 예정이어서 국내 유업체의 입지가 더욱 좁아질 가능성이 크다. 수입산 멸균 우유는 국산우유보다 저렴하고 소비기한이 길다는 장점이 있어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서울우유는 본업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A2원유 등 고급 우유의 대중화를 추진하고 있다. 서울우유 관계자는 "2030년까지 서울우유 모든 유제품의 원유를 A2로 대체해 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하겠다"며 "이미 서울우유 조합원 중 3%가량이 자신들의 목장을 A2 전용목장으로 바꿨다"고 설명했다.

 

서울우유가 프리미엄화 전략으로 국내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면서도, 수입 유제품의 공세와 소비 감소라는 이중고를 어떻게 극복해 나갈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업 강화와 고급화 전략이 서울우유의 미래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문화포털

김동문 회장, 배드민턴 개혁 선언 “안세영 사태, 내가 끝낸다”

 대한배드민턴협회 제32대 김동문 회장이 공식 취임식을 통해 4년 임기의 시작을 알렸다. 21일 오후 서울 송파구 올림픽파크텔에서 열린 취임식에는 체육계 각계각층의 인사들이 참석하여 김 회장의 취임을 축하했다. 유승민 대한체육회장, 하형주 국민체육공단 이사장, 문원재 한국체육대학교 총장,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 그리고 더불어민주당 이기헌 의원 등이 함께 자리를 빛냈다. 김동문 회장은 지난 1월 대한배드민턴협회 회장 선거에서 김택규 전 회장과 전경훈 전 한국실업배드민턴연맹 회장을 물리치고 당선됐다. 김 회장은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혼합 복식 금메달을,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남자 복식 금메달을 따낸 바 있다. 1997년부터 나경민 한국체대 교수와 복식 파트너로 활동하며 국제 대회에서 70연승과 14개 대회 연속 우승이라는 기록을 세운 김 회장은 2004년 선수 생활을 마친 후 캐나다로 유학을 떠나 원광대 교수로 재직했다. 그의 지도자 역할을 통해 엘리트 체육인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으며 대한배드민턴협회 제32대 회장에 선출됐다.김 회장은 취임사에서 "과감한 변화와 새로운 도전을 통해 대한민국 배드민턴이 다시 비상하겠다"는 슬로건을 내세웠다. 그는 "낡은 틀을 과감히 깨고 익숙함에 안주하지 않으며 더 높은 곳을 향해 나아가겠다는 다짐"을 전하며, 이를 국민과 배드민턴 가족 모두에게 드리는 약속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지난해 파리올림픽에서의 성과를 언급하며 "금메달과 은메달이라는 값진 성과를 거뒀지만, 영광 뒤에는 국민들과 배드민턴인들의 질책도 있었다"고 언급했다. 그는 "당시 협회 운영과 시스템은 사회적, 시대적 흐름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했다"고 돌아보며, "선수들은 경기 외적인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고 고백했다. 김 회장은 "이러한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투명하고 공정한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강조하며, 이를 통해 배드민턴의 발전을 이끌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드러냈다. 유승민 체육회장도 축사에서 김 회장과 자신이 많은 공통점을 가진다고 밝혔다. 그는 "김 회장님은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기도 하고, 어려운 시기에 중요한 자리를 맡으셨다"고 평가하며, "파리올림픽 이후 체육회와 협회가 많은 교훈을 얻었으며, 체육회, 협회, 그리고 대한민국 체육계가 신뢰를 다질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김동문 회장은 취임식을 통해 배드민턴의 저변 확대와 시스템 개혁에 대한 비전을 밝혔다. 그는 "유소년부터 성인까지 이어지는 튼튼한 배드민턴 생태계를 구축하고, 생활체육과 전국체육을 포함한 전 방위적인 발전을 목표로 삼겠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 배드민턴이 더욱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스포츠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고 강조했다.특히 김 회장은 취임식에서 축하 화환 대신 쌀과 성금을 산불 피해를 입은 주민들에게 기부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그가 평소 청렴하고 소박한 삶을 추구하는 성향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그의 리더십이 체육계와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을 시사한다.김 회장의 취임은 단순히 개인적인 업적을 넘어, 대한민국 배드민턴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과감한 변화와 도전을 통해 배드민턴이 한층 더 성장할 수 있도록 이끌어갈 그의 리더십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