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만에 또 탄핵?... 보수정당의 '이념적 블랙홀'이 부른 참사

 한국 정치에서 보수정당 출신 대통령이 연이어 탄핵 위기를 맞고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국정농단 탄핵에 이어 8년 만에 윤석열 대통령도 비상계엄 선포로 탄핵 위기에 처했다. 이런 반복적 위기의 근본 원인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이념적 공백'을 핵심 원인으로 지목한다. 보수정당이 추구해야 할 가치와 정책 방향성 없이 권력자와의 관계나 정파적 이해만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 정치학자는 "박근혜 정부 때부터 이들에게는 대통령과의 친소관계만 중요했지 정책적 지향성과 이념적 정체성은 전무했다"고 분석했다. 채장수 경북대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한국 보수주의는 "외적 영향력에 비해 내적 정당화 수준이 낮다"고 평가된다.

 

박근혜 탄핵 이후 자유한국당(현 국민의힘)은 이념적 성숙을 이루기보다 '색깔론' 정치로 퇴행했다. 탄핵을 지지한 세력을 '배신자'로 몰아 정당 내 합리적 목소리를 억눌렀고, 극단적 태극기 집회 세력과 연대하며 이분법적 대립 구도를 심화시켰다.

 


또 다른 원인은 소수 권력자 중심의 공천 시스템이다. 22대 총선에서 '친윤' 성향 인사들이 대거 공천되고 지도부마저 대통령 최측근으로 채워지면서 정당의 자율성이 극도로 약화됐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조치에도 국민의힘은 사전 논의 없이 후속 처리에만 동원됐을 뿐이다. 장성철 소장은 이를 "일방적 명령과 복종의 관계"라고 평가했다.

 

윤왕희 연구원은 "국민의힘은 정당이라는 외피를 쓰고 사실상 특수 이해관계인이 뭉쳐 있는 하나의 사적 운명공동체로 전락했다"고 분석했다. 의석수 108석, 전체 의회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거대 정당이 국민 전체의 이익보다 최고 권력과의 이해관계에 충실한 집단으로 축소된 것이다.

 

권혁용 고려대 교수는 보수정당의 탄핵 위기 원인을 "자유주의와 법치주의의 부재"로 지적한다. "박근혜 국정농단도, 윤석열의 계엄령 선포도 모두 헌법과 법률에 의거하지 않은 자의적 권력행사"라는 것이다.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에도 불구하고 법치주의를 무시하는 행태가 반복되고 있다.

 

보수정당의 연이은 탄핵 위기는 우연이 아니라 이념적 공백, 법치주의·자유주의의 결여, 지도자 중심의 사유화된 정치체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장성철 소장은 "박근혜 탄핵 이후 당내에서는 '찬탄이냐 반탄이냐'를 놓고 끝없이 갈등했다. 이번 탄핵심판 이후에도 같은 갈등으로 극도의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문화포털

부상 딛고 '은빛 도약'! 우상혁, 도쿄 하늘에 새긴 불굴의 투혼

 절망의 그림자가 드리웠던 부상 투혼, 그리고 그를 딛고 일어선 불굴의 의지. 한국 높이뛰기의 간판 우상혁(29) 선수가 2025 도쿄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 다시 한번 세계를 놀라게 하며 값진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지난달 예기치 않은 종아리 부상으로 출전조차 불투명했던 상황을 딛고, 그는 고통 속에서도 빛나는 투혼으로 2m 34의 높은 벽을 넘어섰다. 비록 금메달은 뉴질랜드의 해미시 커 선수에게 돌아갔지만, 우상혁 선수가 보여준 인간 승리의 드라마는 도쿄의 밤을 뜨겁게 달구기에 충분했다.우상혁은 16일 일본 도쿄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대회 남자 높이뛰기 결승에서 2m 34를 뛰어넘으며 은메달을 차지했다. 이는 2022 오리건 대회에 이어 두 번째 세계선수권 준우승 기록이다. 그는 특유의 환한 미소를 지으며 값진 성과에 대한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이날 결승전은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접전이었다. 우상혁은 2m 34를 넘으며 금메달 경쟁에 불을 지폈으나, 뉴질랜드의 해미시 커 선수가 2m 36을 1차 시기에 성공하며 아쉽게 우승을 내주었다. 우상혁은 승부를 뒤집기 위해 2m 38에 도전했지만, 두 차례 모두 실패하며 은메달로 대회를 마무리했다.사실 우상혁은 이번 대회 개막 전까지 우승 후보 1순위로 꼽혔다. 지난 7월까지 중국 난징 세계실내선수권대회, 구미 아시아선수권대회 등 출전한 7개 대회에서 모두 정상에 오르며 최고의 컨디션을 자랑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달 독일 하일브론 국제 높이뛰기 대회를 앞두고 종아리에 불편함을 느끼면서 비상이 걸렸다. 정밀 검사 결과 종아리 근막 손상이라는 진단을 받아 다이아몬드리그 파이널 출전을 포기하고 귀국해야만 했다.대회 출전 자체가 불투명했던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우상혁은 포기하지 않았다. 오직 재활에 전념하며 기적적으로 컨디션을 끌어올렸고, 결국 도쿄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출전 명단에 이름을 올리는 데 성공했다.결승 무대에서도 그의 투혼은 빛났다. 예선에서 2m 25를 넘으며 3위로 통과한 그는 결선에서도 차분하게 자신의 경기를 펼쳤다. 2m 20을 시작으로 2m 24까지 1차 시기에 성공한 뒤, 2m 28에서 아쉬운 첫 실패를 기록하며 잠시 4위로 밀려나기도 했다. 그러나 2m 31에서 집중력을 발휘, 모든 선수들이 1차 시기를 실패한 가운데 우상혁만이 2차 시기에 유일하게 성공하며 다시 선두로 치고 올라섰다. 이어 "가자"라고 외치며 도약에 나선 2m 34를 3차 시도에서 깔끔하게 넘어서는 저력을 보여주며 관중의 탄성을 자아냈다.지난해 파리올림픽에서 7위에 그치며 아쉬움의 눈물을 흘렸던 우상혁. 그가 올해 화려하게 부활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바로 피나는 노력과 불굴의 의지였다. 핑계와 한계, 힘듦을 머릿속에서 지우고 오직 훈련에 매진한 결과, 그는 부상을 딛고 세계 정상급 기량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아직 전성기가 오지 않았다고 밝힌 우상혁은 이번 준우승에 만족하지 않고 다시 신발 끈을 조여 맬 예정이다. 올림픽과 세계선수권대회 금메달이라는 원대한 목표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우상혁은 2028 로스앤젤레스(LA) 올림픽과 다음 세계선수권대회에서 한국 남자 높이뛰기 최초의 금메달에 도전하며 또 다른 역사를 써 내려갈 준비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