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민 아들, 日국가대표 선택…팬들 반응 엇갈려

가수 김정민의 둘째 아들 다니 다이치(한국명 김도윤)가 일본 축구 대표팀을 선택한 가운데, 이 소식은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누리꾼들 사이에서 다양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다니 다이치는 현재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아시아축구연맹(AFC) 2025 17세 이하(U-17) 아시안컵에 일본 대표로 참가 중이다. 그의 선택에 대해 일본 사커다이제스트는 다니가 일본 대표팀을 택한 이유를 밝혔다. 그는 "일본에 가고 싶었고, 이적한다면 가장 강한 팀에서 뛰고 싶었다"며, 사간 도스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언급했다.

 

다니 다이치는 김정민과 일본인 아내 다니 루미코의 아들로, 김정민은 2006년 일본인 다니 루미코와 결혼해 세 아들을 두었다. 다니 다이치는 그 중 둘째 아들이다. 현재 그는 일본의 사간 도스 유스팀에서 공격수로 뛰고 있으며, 지난해 10월 열린 U-17 아시안컵 예선에서 총 6골을 기록하며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 그는 아버지 김정민이 과거 아들 세 명이 모두 축구 선수로 활동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또한, 김정민은 자신의 아들 덕분에 세르히오 라모스와의 만남을 가지기도 했다고 밝힌 바 있다.

 

다니가 일본 대표팀으로 선택되면서, 그의 아버지인 김정민은 지난해 9월 일본 신문에 실린 아들의 사진을 공개하며 자랑스러운 마음을 표현하기도 했다. 그는 "오타니 (쇼헤이) 사진보다 크게 기사가 나왔네? 대박"이라며, 아들이 부상 없이 건강하게 축구 경력을 이어가길 바란다고 응원했다. 이러한 내용은 다니가 U-17 아시안컵에 참가하면서 더 큰 관심을 모은 것이다. 다니가 한국과의 경기에 출전할 가능성도 제기되었으며, 이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하지만 다니의 선택에 대한 반응은 매우 엇갈린다. 일부 누리꾼들은 그가 일본 대표팀을 선택한 이유로 "군대 문제 때문일 것"이라며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또 다른 이들은 "한국에서 지원받으며 성장한 후 일본 대표로 간다면 불편하다"거나, "한국 국적을 가진 사람으로서 일본 국가대표를 선택하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며 불만을 표출했다. "일본을 선택한 것은 개인의 자유지만, 나중에 한국 국가대표로 돌아오겠다고 하지 말았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다.

 

반면, 다니의 선택을 이해하는 반응도 있었다. 일부는 "엄마가 일본인인데 한국 국적을 선택하지 않았다고 욕을 먹을 일은 아니다"라고 말하며, "한국에는 여러 연고가 필요하지만 일본은 경쟁이 공정하니 그곳을 선택한 것 같다"고 해석하기도 했다. 또 다른 누리꾼은 "부모 중 한 명이 일본인이라 선택은 그의 자유"라고 강조하며, 다니의 결정에 대한 존중을 표했다. "선택은 본인의 자유이므로 타인이 무엇이라 할 일이 아니다"라는 의견도 있었다. 또한, 다니의 어머니인 루미코가 매우 자랑스러워할 것이라는 말도 이어졌다.

 

이와 같은 다양한 반응은 다니가 자신의 부모 국적이 아닌 일본 국가대표로 선택한 데 대한 복잡한 감정을 반영하고 있다. 다니는 일본에서 자라며 일본 축구를 대표하는 선수로서 활약하고 있으며, 그의 결정은 그가 속한 환경과 축구적인 목표에 따라 선택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의 선택은 한국과 일본 두 나라 간의 민감한 이슈와 관련된 문제를 다시 한번 상기시키고 있다.

 

다니 다이치의 선택은 앞으로도 논란이 될 수 있으며, 그가 향후 한국과 일본 간의 경기에서 어떤 입장을 취할지도 큰 관심을 모을 것이다. 팬들은 다니가 자신이 선택한 길을 따라가며, 어떤 방식으로 성장해 나갈지에 대해 많은 기대와 우려를 표하고 있다.

 

문화포털

로고 큰 가방은 이제 그만…진짜 '패피'들이 올가을 꽂힌 소재의 정체

 가을의 문턱에서 패션계의 시선이 하나의 소재에 압도적으로 집중되고 있다. 한동안 ‘가을 소재’라는 익숙한 수식어에 갇혀 있던 스웨이드가 올 시즌 가장 뜨거운 키워드로 화려하게 귀환한 것이다. 패션 플랫폼 LF몰의 데이터는 이러한 현상을 명확히 보여준다. 최근 한 달여간 ‘스웨이드’ 키워드 검색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두 배 이상 폭증했으며, 특히 ‘스웨이드 가방’ 검색량은 무려 955%, 즉 10배 가까이 치솟는 기염을 토했다. 이는 소비자들이 스웨이드의 매력을 가장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아이템으로 가방과 신발과 같은 액세서리에 얼마나 열광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단순히 계절이 바뀌어 찾는 소재가 아닌, 하나의 거대한 트렌드로서 스웨이드의 부활을 알리는 신호탄이다.스웨이드의 이토록 거세진 존재감은 올해 패션계를 관통하는 거대한 두 흐름, 즉 70년대부터 90년대까지 이어지는 빈티지 무드와 과시하지 않는 은은한 세련미를 강조하는 ‘소프트 럭셔리’ 트렌드와 완벽하게 맞물렸기 때문이다. 가죽의 안쪽 면을 부드럽게 가공해 만든 스웨이드 특유의 따뜻하고 매트한 질감, 그리고 깊이 있는 색감은 화려한 로고나 번쩍이는 장식 없이도 그 자체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겉으로 드러내기보다 소재와 실루엣에서 나오는 은은한 멋을 추구하는 현재 소비자들의 까다로운 취향을 정확히 저격한 것이다. 스웨이드는 이제 낡은 것이 아닌, 가장 현대적이고 세련된 감성을 표현하는 소재로 재평가받고 있다.이러한 흐름에 가장 발 빠르게 움직이는 것은 단연 패션 브랜드들이다. 저마다의 방식으로 스웨이드 아이템을 전면에 내세우며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LF의 닥스 액세서리는 소가죽과 염소가죽 등 고급 스웨이드 소재 본연의 감도를 극대화한 가방 라인업을 대폭 확대하며 정공법을 택했다. 헤지스 액세서리는 올해 유행 컬러인 ‘모카무스’ 색상을 스웨이드에 접목한 ‘엣지 백’으로 초도 물량 완판 신화를 썼고, 현재 5차 재생산에 돌입하며 그 인기를 증명하고 있다. 질스튜어트 뉴욕 액세서리는 한발 더 나아가 이탈리아의 최고급 스웨이드 전문 공장에서 생산한 프리미엄 소재를 사용하고, 가방뿐만 아니라 부츠까지 새롭게 선보이며 스웨이드의 활용 범위를 넓히는 데 집중하고 있다.결국 올가을 스웨이드는 단순히 계절감을 나타내는 소재를 넘어, 스타일의 핵심을 완성하는 ‘포인트’ 아이템으로 그 위상이 격상되었다. 지난해에는 재킷이나 아우터 등 의류 품목에서 스웨이드가 주로 활용되었다면, 올해는 한층 다채로워진 색감과 고급스러운 소재감을 무기로 한 가방과 신발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요란한 장식 없이도 잘 만들어진 스웨이드 백 하나, 혹은 스웨이드 부츠 한 켤레만으로도 전체적인 룩에 깊이와 세련미를 더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스웨이드가 단순한 유행을 넘어 올가을 패션의 ‘주인공’으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