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50% 넘는 지지율' 독주... 국힘 후보들 '속수무책'

 최근 한국갤럽이 중앙일보 의뢰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3 대선에서 어떤 보수 후보와 맞붙어도 50% 이상의 지지율로 승리할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보수진영에 심각한 위기감을 안겨주는 결과다.

 

지난 8~9일 전국 성인 1004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표본오차 ±3.1%p, 신뢰수준 95%)에서 다자대결 시나리오에서 이재명 전 대표는 42%의 압도적 지지율을 기록했다. 그 뒤를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12%), 홍준표 대구시장(9%),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6%), 오세훈 서울시장(5%)이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동연 경기지사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각각 3%의 지지율을 보였으며, 지지 후보가 없다는 응답은 12%였다.

 

특히 주목할 점은 양자대결 시나리오에서 이재명 전 대표의 우세가 더욱 두드러진다는 것이다. 이 전 대표는 김문수 전 장관과의 대결에서 53:35, 오세훈 시장과는 51:38, 한동훈 전 대표와는 52:32, 홍준표 시장과는 50:38로 모든 가상 대결에서 여유 있게 앞서는 모습을 보였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의힘으로서는 무당층 12%를 모두 흡수하고 이준석 후보의 지지층까지 끌어들여야 승산이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특히 이준석 후보는 20대에서 6%의 지지율로 이재명 전 대표(27%), 홍준표 시장(16%)에 이어 3위를 차지해 젊은 층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이준석 후보 지지자들의 2순위 선호도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이재명 전 대표와 국민의힘 후보 간 양자대결 시, 김문수 전 장관을 제외한 다른 국민의힘 후보들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명-오세훈 대결에서는 28:56, 이재명-홍준표 대결에서는 33:44, 이재명-한동훈 대결에서는 28:56으로 국민의힘 후보를 지지했다. 다만 김문수 전 장관의 경우에는 39:34로 오히려 이재명 전 대표를 더 선호하는 특이점을 보였다.

 

한국갤럽은 "대선이 3자 구도로 펼쳐질 경우, 탄핵에 찬성한 중도층 일부가 이준석 후보 쪽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있다"며 이준석 후보가 대선의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현재 이재명 전 대표의 대선 가도가 순항 중이지만, 국민의힘이 무당층과 이준석 지지층을 효과적으로 흡수한다면 판세가 바뀔 가능성도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20대 유권자층과 중도 성향 유권자들의 표심이 향후 대선의 향방을 좌우할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문화포털

8시 16분 좌초, 8시 36분 구조대 도착... 267명 살린 골든타임 20분

 전남 신안군 해상에서 대형 여객선이 암초에 좌초되는 긴급 상황이 발생했으나, 승무원들의 책임감 있는 대응과 질서 정연한 구조 작업 덕분에 탑승객 267명 전원이 무사히 구조됐다.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해상 안전 의식이 높아진 가운데, 노약자와 어린이를 우선 대피시키는 등 인명 피해를 막은 모범적인 대응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20일 해양경찰청 등에 따르면, 사고는 지난 19일 오후 8시 16분경 전남 신안군 인근 해상에서 제주를 출발해 목포로 향하던 여객선 '퀸제누비아2호'(승객 246명, 승무원 21명)가 암초에 걸려 멈춰 서면서 발생했다. 신고 접수 약 20분 만에 해경 고속정과 서해특수구조대가 현장에 도착해 즉각적인 구조에 나섰다.사고 직후 선내에서는 침착한 안내 방송이 이어졌다. 승무원들은 노약자, 임산부, 어린이 등 취약 계층의 우선 대피를 유도했으며, 승객들은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승무원의 안내에 따라 차분하게 탈출했다. 한 승객은 "아이 있는 사람과 임산부, 어린 사람이 먼저 타라고 해서 먼저 탔다"며 신속했던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특히, 이번 사고에서 승무원들은 구조가 완료될 때까지 끝까지 배에 남아 사고를 수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선장과 선원이 먼저 탈출했던 세월호 참사와 극명하게 대비되는 모습으로, 신속하고 책임감 있는 대응이 대형 인명 피해를 막았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잇따르고 있다.해경은 이번 사고의 원인을 운항 부주의 또는 선장 및 항해사의 과실로 추정하고 집중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김용진 해양경찰청장은 20일 브리핑에서 "좌초 이유에 대해 추가 조사가 필요하지만, 현재로선 선장 또는 항해사 과실로 추정 중"이라고 밝혔다. 채수준 목포해양경찰서장 역시 대형 선박이 섬에 충돌하는 것은 이례적이라며 원인 규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해경은 향후 출항 전 안전점검 이행 여부, 조타실 근무 상황, 오토파일럿 설정 및 항로 등을 면밀히 조사할 방침이다. 아울러 해양수산청과 협의해 좌초된 선박의 이초(재부양)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예인선 투입을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