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남자 모델' 박보검, 김태리·수지·김연아 뒤이어 한복 세계화 대열 합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한류스타 박보검이 문화체육관광부의 '한복웨이브' 사업 최초의 남성 모델로 선정되어 한복의 아름다움을 전 세계에 알리는 중책을 맡게 됐다. 이는 지금까지 여성 스타들만이 담당해왔던 한복 홍보 사업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은 15일 공식 발표를 통해 "박보검이 '2025 한복웨이브' 사업의 한류 문화예술인으로 선정되었으며, 국내 우수 한복 브랜드 4곳과 협업하여 한복의 품격과 기품을 세계에 알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복웨이브'는 올해로 6회째를 맞이하는 문화체육관광부의 대표적인 한복 세계화 사업이다. 이 사업은 글로벌 영향력을 가진 한류 예술인들과의 협업을 통해 한복의 매력을 국제사회에 효과적으로 알리고, 동시에 국내 유망 한복 브랜드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난해에는 배우 김태리가 모델로 활약했으며, 2023년에는 배우 수지, 2022년에는 전 피겨스케이트 선수 김연아가 한복의 아름다움을 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담당했다.

 

이번 사업에 참여할 한복 브랜드 선정을 위한 공모는 4월 15일부터 5월 9일까지 진행된다. 한복 분야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창의성, 전문성, 실현 가능성, 기대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최종 4개 업체를 선정할 예정이다. 선정된 업체들은 박보검의 이미지와 상징성을 반영한 독창적인 한복 디자인을 개발하게 된다.

 


개발된 한복 디자인은 단순히 국내에서만 선보이는 것이 아니라, 서울을 비롯해 뉴욕, 파리, 밀라노 등 세계 주요 패션 도시의 전광판과 유명 패션지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한복의 전통미와 현대적 감각이 조화된 디자인을 전 세계에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보검은 드라마 '응답하라 1988', '구르미 그린 달빛', '청춘기록' 등을 통해 국내외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한류스타로, 최근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에 출연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더욱 확대하고 있다. 그의 단정하고 품위 있는 이미지는 한복의 기품과 아름다움을 알리는 데 최적의 조합으로 평가받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박보검은 국내외에서 폭넓은 인지도와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진 배우로, 그의 참여로 한복의 세계화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특히 첫 남성 모델로서 한복의 다양한 매력을 새롭게 조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복웨이브 사업 참여에 관심 있는 한복 브랜드는 문화체육관광부(http://www.mcst.go.kr)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http://www.kcdf.or.kr) 공식 웹사이트에서 자세한 공모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문화포털

'성냥으로 연애까지?'... 80년대 청춘들이 '불꽃 튀게' 사용했던 데이팅 도구 뭐길래?

 전북 김제시 벽골제농경문화박물관이 잊혀가는 아날로그 시대의 독특한 광고 매체였던 성냥을 재조명하는 특별 기획전을 13일부터 개최한다. '불로 피운 광고, 성냥이 남긴 김제의 흔적'이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이번 전시회는 다음 달 15일까지 약 한 달간 진행되며,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김제 지역에서 활발하게 사용되었던 광고용 성냥 128점을 선보인다.디지털 광고가 범람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상상하기 어렵지만, 불과 30~40년 전만 해도 성냥은 단순한 불씨를 제공하는 도구를 넘어 중요한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당시 지역 기업들과 다방, 음식점, 숙박업소 등 다양한 상업 시설들은 자신들의 상호와 연락처, 위치 정보 등을 성냥갑에 인쇄하여 고객들에게 무료로 제공했다. 이러한 성냥은 실용적인 가치와 함께 광고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일석이조의 홍보 도구였다.이번에 전시되는 성냥들은 김제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변천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오늘날에는 사라진 옛 상점들의 이름과 당시 유행했던 디자인, 글꼴, 색상 등을 통해 80~90년대 김제의 상업 문화와 시대상을 엿볼 수 있다. 특히 지금은 스마트폰 번호가 주류를 이루지만, 당시에는 3~4자리 전화번호가 적힌 성냥갑들이 눈에 띄어 시대의 변화를 실감케 한다.정성주 김제시장은 "성냥은 단순한 생활용품을 넘어 업체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광고 매체였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시민들이 김제의 과거 상업 문화와 광고 트렌드의 변천사를 함께 살펴볼 수 있는 뜻깊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시회의 의의를 설명했다.박물관 측은 이번 전시가 단순히 향수를 자극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현대 디지털 광고와 아날로그 광고의 차이점을 비교해보는 교육적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전시 기간 중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성냥 관련 체험 프로그램과 함께 김제 지역의 역사적 상권 변화에 대한 특별 강연도 계획하고 있다.벽골제농경문화박물관은 농경 문화의 보존과 연구를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이번 성냥 기획전을 통해 농업 중심 도시였던 김제의 상업 발전 과정도 함께 조명할 예정이다. 관람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입장료는 성인 3,000원, 청소년 및 어린이 1,500원이며, 김제시민은 50% 할인된 가격으로 관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