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정명, 이유진에 설렘 직진.."기다리게 해서 미안"

 배우 천정명이 진정성 있는 고백으로 시청자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물들였다. 21일 방송된 tvN STORY 예능 프로그램 ‘이젠 사랑할 수 있을까’에서는 천정명이 다섯 번의 맞선을 마친 후, 최종 애프터 상대를 선택하는 장면이 그려졌다. 이날 천정명이 선택한 인물은 첫 번째 맞선 상대였던 변호사 이유진이었다. 오랜 시간 고민 끝에 전한 진심 어린 애프터 신청은 천정명의 내면 깊은 감정을 드러내며 감동을 안겼다.

 

천정명은 이유진을 향한 마음을 솔직하게 전했다. 그는 “인간 천정명으로 다가가고 싶었다”고 밝히며 “지금까지 만난 분들 중 설레는 감정이 가장 컸다”고 고백했다. 이어 “처음 만났을 때 밝은 인상과 웃는 얼굴이 참 좋았다. 환하게 웃어주는 그 에너지가 기분 좋았다”고 말해 이유진에 대한 진심을 엿보게 했다. 이에 이유진 역시 “다시 뵙고 싶었다”며 수줍은 미소로 호감을 내비쳤다.

 

한편 이유진은 애프터 신청이 늦어진 데 대한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전했다. 그는 “시간이 흐르면서 기대를 내려놓았다. 왜 이렇게 오래 걸렸는지 묻고 싶었다”고 말하며, 그간의 복잡한 심경을 털어놨다. 이에 천정명은 “신중한 성격 탓에 결정이 늦어졌다”며 이해를 구했고, 두 사람은 서로를 향한 감정의 무게를 확인하며 한층 가까워졌다.

 

 

 

방송에서는 서로의 방송분을 챙겨봤다는 이야기로 대화를 이어갔다. 이유진은 “저랑 잘 어울린다는 댓글도 봤냐”고 묻자, 천정명은 “그런 댓글들이 많더라”고 웃으며 답했다. 하지만 이유진은 “좋은 댓글도 있었지만, 간간이 악플도 있었다”며 속마음을 드러냈다. 그는 “심한 수위는 아니었지만,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말했고, “한때는 댓글을 모아 고소할까 고민하기도 했다”며 웃으며 상황을 넘겼다.

 

이에 천정명은 진심 어린 위로를 전했다. 그는 “그 이야기를 들으니 마음이 안 좋다. 미안하기도 하고 속상했다”고 말하며, “저는 워낙 무뎌져서 신경을 덜 쓰는 편이지만, 이유진 씨가 스트레스를 받았다는 게 마음 아팠다”고 덧붙였다. 단순한 위로를 넘어선 공감의 말은 두 사람의 관계가 단순한 예능 이상의 진정성을 지닌 것임을 보여줬다.

 

방송 말미, 두 사람은 조심스럽지만 분명한 교감을 나누며 앞으로의 관계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서로에게 마음을 열고 솔직하게 감정을 주고받는 모습은 시청자들에게도 설렘과 따뜻함을 전했다. 천정명의 진중한 성격과 이유진의 솔직한 감정 표현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며, 두 사람의 인연이 방송 이후에도 어떻게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젠 사랑할 수 있을까’는 단순한 연애 리얼리티를 넘어, 진정한 만남과 교감의 순간을 조명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그려내며 깊은 여운을 남겼다.

 

문화포털

"어딜 도망가나"…한동훈, '대장동 3종 세트'로 민주당 정조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26일 당을 향해 '대장동 항소 포기 진실 규명 3종 세트' 법안의 즉각적인 발의를 강력히 촉구하고 나섰다. 그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 같은 입장을 밝히며, 현 상황을 정면으로 돌파해야 한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한 전 대표가 제안한 3종 세트는 국정조사안, 특검법안, 그리고 정성호 법무부 장관에 대한 탄핵소추안으로, 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과 관련된 핵심 의혹들을 규명하기 위한 전방위적 압박 카드로 해석된다. 이는 단순한 정치적 공세를 넘어, 사법 시스템의 공정성과 관련된 중대 사안에 대해 입법부 차원의 철저한 진상 조사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이다.한 전 대표는 특히 공세의 초점을 더불어민주당으로 향하게 했다. 그는 과거 민주당이 '검사들의 집단 항명과 조작 기소'를 주장하며 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의 항소 포기 사태에 대한 특검과 국정조사를 먼저 요구했던 사실을 상기시키며 "어딜 도망가나. 도망가지 말고 그거 꼭 하라"고 직격했다. 이는 민주당이 관련 이슈를 계속 언급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불리하다고 판단해 국정조사 추진을 사실상 포기했다는 취지의 언론 보도를 인용하며 나온 발언으로, 민주당의 입장 변화를 지적하고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공세의 주도권을 되찾아오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또한 이번 사안의 본질이 막대한 국민 혈세 낭비와 부당한 이익输送(수송)에 있음을 분명히 했다. 한 전 대표는 "피 같은 국민 돈 7000억으로 김만배 일당을 재벌로 만들어 준 자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국민과 야당이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그는 이번 사건을 단순한 법적 공방이 아닌, 국민의 재산을 특정 세력에게 부당하게 이전해 준 중대한 비리로 규정하고, 진실을 은폐하려는 세력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바로 국민적 관심과 야당의 끈질긴 추적이라는 점을 명확히 한 것이다.마지막으로 한 전 대표는 경고의 메시지를 자신의 당인 국민의힘에도 전달했다. 그는 "그런데도 우리가 포기하면 국민이 우리를 포기할 것"이라고 말하며, 대장동 의혹 규명에 대한 미온적인 태도는 결국 제1야당으로서의 존재 이유를 부정당하고 국민적 신뢰를 완전히 상실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는 당 지도부와 소속 의원들을 향해 대여 투쟁의 선명성을 강화하고, 국민의 눈높이에서 사안에 접근하여 야당 본연의 감시와 견제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것을 촉구하는 강력한 내부 메시지로 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