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자리 가득’ 울산 첫 경기, 0-1 충격 패배

 한국 대표 울산 현대가 2025 FIFA 클럽 월드컵 첫 경기에서 아쉽게 석패했다.

 

김판곤 감독이 이끄는 울산 현대는 6월 18일(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 인터앤코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5 FIFA 클럽 월드컵 조별리그 F조 1차전에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마멜로디 선다운스에 0-1로 패했다. 이로써 울산은 F조 팀 중 유일하게 승점을 따지 못하며 조 최하위로 처졌다.

 

경기 전 스포츠 전문 매체 디 애슬레틱이 평가한 32개 참가 팀 중 울산은 31위, 마멜로디 선다운스는 26위로 평가받았다. 낮은 순위에도 불구하고 울산은 초반부터 적극적인 공격을 펼치며 팽팽한 경기를 보여줬다. 전반 4분 엄원상의 패스를 받은 에릭이 위협적인 슈팅을 시도했고, 23분에는 보야니치가 페널티 구역 안에서 오른발 슈팅을 날렸다. 다만 에릭의 슈팅은 크로스바를 넘어갔고, 보야니치의 슈팅은 상대 골키퍼 정면으로 향해 선제골로 연결되지 못했다.

 

 

 

마멜로디도 전반 중반부터 반격에 나섰다. 전반 29분 이크람 레이너스의 왼발 슈팅이 비디오 판독(VAR) 결과 핸드볼로 무효 처리됐으나, 36분 레이너스가 다시 기회를 잡아 상대 수비 허점을 노려 중앙으로 침투한 후 오른발 슈팅으로 골망을 흔들며 선제골을 기록했다.

 

울산은 후반전에 들어서면서 적극적인 전방 압박으로 분위기 반전을 노렸다. 김판곤 감독은 후반 19분 이청용을 대신해 베네수엘라 출신 윙어 라카바를 투입했다. 라카바는 후반 36분 오른쪽 측면을 파고들어 골키퍼와 일대일 상황을 만들어내며 득점 기회를 만들었으나, 슈팅은 상대 골키퍼의 선방에 막혔다. 이후 울산은 뚜렷한 득점 기회를 만들지 못했고 결국 경기는 0-1 패배로 끝났다.

 

울산은 이번 대회에서 22일 뉴저지주 이스트 러더퍼드의 메트라이프 스타디움에서 브라질의 플루미넨시, 26일 오하이오주 신시내티의 TQL 스타디움에서 독일의 도르트문트와 맞붙는다. 디 애슬레틱 랭킹에서 플루미넨시는 21위, 도르트문트는 7위로 평가받아 앞으로의 경기 역시 쉽지 않은 승부가 예상된다.

 

한편 이날 경기는 경기 시작 직전 인근 지역에서 낙뢰가 감지되어 예정 시간보다 1시간 5분 늦게 킥오프됐다. 흥행 면에서도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2만 5,500석 규모의 인터앤코 스타디움에는 총 3,412명의 관중만이 입장해 대회 최저 관중 기록을 세웠다. 비인기 팀 간 경기라는 점과 날씨 악재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같은 날 캘리포니아주 로즈볼에서는 파리 생제르맹과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빅매치가 열려 8만 명이 넘는 관중이 몰리며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빅클럽 대 비인기 팀 간 관심도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난 것이다. 이에 대회 흥행을 위해 지안니 인판티노 FIFA 회장이 울산 경기를 직접 방문했으나, 관중석의 빈자리를 메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번 경기는 FIFA 클럽 월드컵이 직면한 흥행 난제와 대회 위상에 대한 고민을 여실히 보여준 사례로 평가된다.

 

문화포털

트럼프, 자필 메모로 ‘금리 인하’ 으름장 발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시 한 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정면으로 비판하며 금리 인하를 강하게 촉구하고 나섰다. 이번에는 자필로 작성한 메모를 SNS에 공개하며, 미국 기준금리를 1%대로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준이 올해 들어 4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트럼프는 파월 의장을 향한 공격 수위를 높이며 차기 대선을 앞두고 통화정책을 본격적으로 정치 쟁점화하는 모습이다.현지시간 6월 30일,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직접 운영하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Truth Social)’에 자필 메모가 담긴 기준금리 국가 순위표 이미지를 올렸다. 해당 표에는 미국의 기준금리(4.25~4.50%)가 세계 35위라는 사실이 나와 있으며, 그는 순위표 상단에 “제롬, 당신은 언제나처럼 너무 늦다. 당신은 미국에 거액의 비용을 부과해 왔고, 계속 그럴 것이다”라는 비판을 적었다. 이어 “기준금리를 크게 내려야 한다”며 “인플레이션도 없고, 우리는 수천억 달러를 잃고 있다”고 주장했다.트럼프는 스웨덴(0.25%), 콜롬비아(0.45%), 일본(0.50%), 덴마크·세이셸·태국(각 1.75%) 등을 지목하며 “미국의 기준금리는 이들 국가 수준에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미국 기준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황이라는 점을 부각시키며, 연준의 통화정책이 미국 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입장을 피력한 것이다.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같은 날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정례브리핑을 열고, 트럼프 대통령이 작성한 자필 메모를 언론에 직접 공개했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의 메시지를 낭독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 이사회가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강하게 보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는 연준을 향해 “이들은 미국에서 가장 쉬우면서도 가장 명망 있는 직업을 갖고 있지만 실패하고 있으며, 그 실패는 현재진행형”이라고 비난했다.트럼프는 “연준이 제 역할을 제대로 했다면, 미국은 수조 달러에 달하는 이자 비용을 절약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연준 이사회 전체에도 책임이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우리는 기준금리를 1%대 아니면 그보다 더 낮게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이러한 트럼프의 연준 비판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그는 대통령 재임 당시부터 지속적으로 파월 의장의 금리정책에 반기를 들었으며, 올해 초에는 파월 의장 해임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금리 인하 압박을 노골화했다. 이후 백악관 참모들이 과도한 압박이 시장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하자 발언 수위를 조절했지만, 최근 들어 다시 비판 강도를 높이고 있다. 특히 트럼프는 전날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도 파월 의장을 “나쁜 사람”이라 지칭하며, 차기 연준 의장으로는 “금리를 낮출 수 있는 인물을 앉힐 것”이라고 공언했다. 이는 그가 재집권할 경우 연준의 독립성 논란이 다시 불거질 수 있음을 암시하는 대목이다.하지만 연준은 트럼프의 이러한 요구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올해 들어 연준은 기준금리를 4차례 연속 동결했으며, 그 배경에는 팬데믹 이후 이어져온 고물가 상황과 관련한 우려가 깔려 있다.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 수석 연구원이자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의 미국 경제 책임자인 데이비드 윌콕스는 “미국은 40년 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을 경험했다”며 “연준이 정치적 압력에 굴복해 성급히 금리를 인하할 경우, 또 한 번의 정책 실패로 연준의 신뢰도에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윌콕스는 이어 “현재 연준이 통화정책 완화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취하는 것은 당연한 선택”이라며 “정치 논리에 흔들릴 경우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 전반에 더 큰 불확실성을 야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트럼프의 지속적인 금리 인하 압박은 인플레이션 둔화에 따른 시장의 기대 심리를 자극하면서도, 연준의 독립성을 둘러싼 논란을 다시 점화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다. 미국 대선을 1년여 앞둔 상황에서 트럼프의 연준 공격은 정치적 계산이 깔린 의도된 메시지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앞으로 연준이 이러한 외부 압력 속에서도 정책적 균형을 어떻게 유지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