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칙승’으로 우뚝 선 김하윤, 일본 신예 눌렀다!

 한국 여자 유도의 간판 김하윤(안산시청·세계랭킹 5위)이 34년 만에 세계유도선수권대회 여자 최중량급 정상에 올라 한국 유도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2025년 6월 20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국제유도연맹(IJF) 세계선수권대회 여자 78㎏ 초과급 결승전에서 김하윤은 일본의 아라이 마오(7위)를 상대로 반칙승을 거두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로써 지난해 동메달에 이어 2년 연속 포디움에 올라 세계 정상급 기량을 확실히 입증했다. 한국 여자 선수가 세계선수권에서 최중량급 금메달을 차지한 것은 1991년 스페인 바르셀로나 대회에서 문지윤(당시 72㎏ 초과급)이 정상에 오른 이후 무려 34년 만의 쾌거다.

 

이번 대회에서 김하윤은 준준결승에서 대표팀 후배 이현지(남녕고·4위)를 맞아 연장 접전 끝에 반칙승을 거뒀고, 준결승에서는 세계랭킹 1위 프랑스의 로만 디코마저도 연장전에서 반칙승으로 제압하며 결승 무대에 올랐다. 시니어 국제무대 데뷔 2년 미만인 일본 신예 아라이와 맞붙은 결승전에서도 베테랑다운 침착함으로 경기를 주도했다.

 

4분간의 정규시간 동안 신중한 경기 운영을 펼친 김하윤은 골든 스코어(연장전)에 돌입했고, 연장 41초 만에 두 선수 모두 그립 피하기 반칙을 받았다. 이미 지도 2개를 받고 있던 아라이가 세 번째 지도를 받아 반칙패가 확정되면서 김하윤이 금메달을 확정했다.

 

김하윤은 2023년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따 한국 유도가 오랜 기간 겪어온 ‘노골드’ 수모를 씻어냈으며, 지난해 세계선수권과 파리올림픽에서 동메달을 연달아 획득하며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왔다.

 

 

 

이번 대회에서 ‘여자 유도 세대교체 기수’로 떠오른 이현지도 주목받았다. 김하윤과의 4강전에서 패배했지만, 패자전인 동메달 결정전에서 네덜란드의 마릿 캄프스(9위)를 허리 대돌리기 한판으로 가볍게 제압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지난해 주니어 세계선수권 우승자인 이현지는 올해 처음 출전한 시니어 세계선수권에서 동메달을 따내며 강력한 성장세를 재확인시켰다.

 

남자부에서는 지난해 세계선수권 최중량급(100㎏ 초과급) 금메달리스트 김민종(양평군청·3위)이 동메달을 추가했다. 김민종은 준결승에서 조지아의 구람 투시슈빌리(4위)에 모로떨어뜨리기 한판패로 결승 진출에 실패했으나, 동메달 결정전에서 러시아 출신 중립선수 타멜란 바샤에프(9위)를 오금대떨어뜨리기 절반으로 눌러 승리했다.

 

또한 남자 81㎏ 이하급에서는 이준환(포항시청)이 동메달을 획득하는 등 한국은 개인전에서 금메달 1개, 동메달 3개를 확보하며 종합 6위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유도 대표팀은 21일 예정된 단체전 일정을 끝으로 대회를 마치고 귀국할 예정이다. 이번 대회 성과는 한국 유도계에 큰 힘이 될 뿐 아니라 향후 국제무대에서 한국 여자 유도의 위상을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포털

위작 논란에 종지부 찍는다! 2026년부터 모든 미술품에 '이것' 없으면 의심하라

 문화체육관광부가 미술품 거래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했다. 미술진흥법에 근거해 2026년 7월부터 미술품 구매자는 작품의 진위를 확인할 수 있는 증명서를 요구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한 '감정서'와 '진품증명서'의 규격이 최근 발표됐다.문체부는 '미술품 감정서에 관한 고시' 제정안과 '미술품 진품증명서에 관한 고시' 제정안을 마련하고 7월 25일까지 행정예고를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 이 고시들은 미술진흥법에서 규정한 미술품 감정업 신고제가 시행되는 2026년 7월부터 함께 시행될 예정이다.2023년 7월 제정된 미술진흥법은 미술의 창작과 유통, 향유를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특히 미술서비스업의 신고제 도입과 함께 미술품 감정업자에게 ▲ 감정의뢰인이나 미술 서비스업자로부터 독립해 공정하게 감정할 것 ▲ 허위 감정서를 발급하지 않을 것 ▲ 문체부 장관이 정해 고시하는 양식에 따른 감정서를 발급할 것 등의 의무를 부과했다.'미술품 감정서에 관한 고시' 제정안에 따르면, 감정서는 '진위감정서'와 '시가감정서' 두 종류로 구분된다. 감정서에는 작품의 기본정보와 감정의 근거 등을 세부적으로 기재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미술품 감정 관련 정보를 표준화하고 미술시장의 투명성을 높이는 한편, 미술품 물납제와 미술품 담보대출 등 증가하는 수요에 맞춰 미술품 감정이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또한 미술진흥법에 따라 미술품 구매자는 작가 또는 미술 서비스업자에게 진품증명서 또는 이에 갈음하는 증명서의 발행을 요구할 수 있다. '미술품 진품증명서에 관한 고시' 제정안은 이러한 권리를 구체화하기 위해 진품증명서의 서식 및 기재 사항, 진품증명서를 발행할 수 없는 경우 등을 상세히 규정했다.이번 고시 제정을 통해 미술품 거래 시 작가명, 구매처, 보증내용 등이 포함된 증명서를 요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비자의 권리가 강화되고 미술시장의 투명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위작 논란이 끊이지 않는 국내 미술시장에서 이러한 제도적 장치는 미술품 거래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문체부 신은향 예술정책관은 "이번 미술품 감정서 고시 제정을 통해 미술품 감정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시장이 확대되길 기대한다"며, "문체부는 미술품 감정 전문인력 양성 지원, 감정 기초자료 구축 등으로 미술품 감정이 활성화되고 전문화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이번 제도 도입으로 미술품 구매자들은 작품의 진위와 가치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한 미술품 구매가 가능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