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 우리 뜨겁게 만나요"... 조정석, 유재석에게 보낸 충격적 취중 메시지

 지난 29일 방송된 SBS 예능 프로그램 '틈만나면,'에서는 영화 '좀비딸'의 주연 배우 조정석과 조여정이 게스트로 출연해 유쾌한 토크를 나눴다. 이날 방송에서는 조정석이 백상예술대상 수상 후 유재석에게 보낸 취중 메시지에 관한 에피소드가 공개돼 시청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방송 중 조여정은 '좀비딸' 출연을 결정한 이유에 대해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그녀는 "조정석이 출연한다고 해서 합류했다"며 "친한데 같은 작품을 한 번도 못 했다. 한 장면이 나오더라도 해야 할 것 같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어 "드디어 왔다는 생각이었는데, 생각보다 신이 많더라"며 예상보다 많은 분량에 놀랐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에 유재석은 조정석의 이전 작품 '파일럿'이 큰 성공을 거두었다는 점을 언급하며 대화를 이어갔다. 특히 유재석은 "'파일럿'으로 조정석이 백상예술대상 최우수연기상을 받았다"고 상기시키며 조정석의 연기력을 칭찬했다.

 

그러나 곧이어 유재석은 뜻밖의 폭로를 했다. "조정석이 그때 취중 장문 문자를 보냈다"는 것이다. 이 말에 스튜디오는 순간 웃음바다가 됐고, 조정석은 당황한 듯한 표정을 지었다.

 


조정석은 즉시 해명에 나섰다. "취하기도 하고 너무 기분이 좋아서 '형 우리 만나요. 뜨겁게'라고 보냈더라"고 설명했다. 백상예술대상 수상의 기쁨과 감격이 너무 커서 평소 존경하는 유재석에게 감정이 북받쳐 보낸 메시지였던 것.

 

유재석은 "가끔 연락하고 하지만 이렇게까지..."라며 당시 문자를 받았을 때의 놀라움을 표현했다. 그러면서도 "그래, 만나는 건 언제든 좋은데"라고 너그럽게 받아들였음을 전했다.

 

재미있는 점은 조정석이 다음 날 아침 정신이 들자마자 사과 문자를 보냈다는 것이다. 유재석은 "다음날 아침에 문자가 왔더라. '제가 어제 너무 취했어요'"라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이에 조정석은 "제가 너무 흥분했다"며 다시 한번 유재석에게 사과했다.

 

이 에피소드는 평소 진중하고 성실한 이미지의 조정석의 인간적인 모습을 보여주어 시청자들에게 친근감을 안겼다. 또한 유재석과 조정석의 선후배 관계가 얼마나 돈독한지를 엿볼 수 있는 장면이기도 했다.

 

한편, 조정석과 조여정이 출연한 영화 '좀비딸'은 좀비가 된 딸과 아버지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으며 흥행 중이다. 두 배우의 호흡이 돋보이는 이 영화는 조여정의 말처럼 두 사람이 처음으로 함께 호흡을 맞춘 작품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문화포털

대형마트 '죽음의 5년'... 소비쿠폰에서도 배제된 유통 공룡들의 몰락

 올해 상반기 대형마트, 편의점 등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의 매출이 전년 대비 0.1% 감소하며 역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기준 오프라인 유통 매출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0년 이후 5년 만의 일이다. 반면 온라인 매출은 15.8%나 증가하며 뚜렷한 대조를 보였다.업태별로 살펴보면 대형마트가 1.1% 감소해 오프라인 중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고, 편의점도 0.5% 감소했다. 백화점은 겨우 0.5%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백화점과 편의점이 3~5%대 성장세를 보였던 것과 확연히 다른 모습이다.오프라인 유통 매출 증감률은 2021년 8.6%를 정점으로 계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온라인 매출 증감률은 2021년 16.1%에서 2023년 7.2%로 잠시 주춤했다가 올해 다시 15.8%로 크게 반등했다.업계에서는 이러한 부진의 원인으로 경기 불황과 고물가로 인한 소비 심리 위축, 그리고 기후변화 현상을 꼽았다. 특히 백화점은 3월 중순까지 이어진 추운 날씨와 눈으로 봄 시즌 패션 부문 실적이 저조했다. 신세계백화점은 올해 상반기 1월을 제외한 5개월 동안 전년 동월 대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백화점은 그나마 명품 등 해외 유명브랜드 매출이 5% 증가하며 전체 매출 하락을 일부 방어할 수 있었다. 반면 가전, 문화·패션, 잡화·아동스포츠 등의 상품군은 모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백화점 업계 관계자는 "마진율이 높은 패션 부문 판매가 부진했고, 경기 전망이 불투명해 VIP 고객들도 소비보다는 현금 보유를 선호하는 분위기가 강했다"고 설명했다.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은 하반기에도 경기 불황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계기로 소비 심리가 개선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특히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한 편의점 업계는 4월부터 3개월 연속 역성장한 만큼 쿠폰 효과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한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이번 소비쿠폰은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과 달리 여름휴가 시즌과 맞물려 지급돼 소비 촉진 효과가 더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반면 소비쿠폰 사용처에서 제외된 대형마트는 매출 감소 가능성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과거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당시에도 사용처로 지정되지 못했던 대형마트는 월 5~10%대의 매출 감소를 경험한 바 있다. 이에 이마트와 롯데마트는 수입 삼겹살 60% 할인, 한우 등심 반값 판매 등 대규모 할인행사를 펼치며 고객 유치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 정부에서 대형마트 규제가 더 강화될 가능성도 있어 긴장감이 높다"며 "하반기에도 매출 부진이 계속된다면 마진율 조정 등 추가 조치가 필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