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기' 마을 발칵 뒤집은 차인표의 문학상 수상! 과연 그의 소설은?

 황순원기념사업회는 지난 4일, 한국 문학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제14회 황순원문학상 수상자들을 발표하며 문학계 안팎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권위 있는 작가상에는 소설가 주수자, 시인상에는 시인 김구슬이 각각 선정되었으며, 특히 배우이자 소설가로 활동하는 차인표가 신진상 수상자로 이름을 올려 큰 화제를 모았다. 이는 문학의 경계를 허물고 대중과의 소통을 확장하는 의미 있는 결과로 평가받고 있다.

 

주수자 작가는 소설 ‘소설 해례본을 찾아서’로 작가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 작품은 치밀한 구성과 깊이 있는 주제 의식, 그리고 독자를 몰입시키는 서사적 힘을 바탕으로 심사위원들의 만장일치에 가까운 지지를 얻었다. 문학적 탐구와 인간 본연의 질문을 파고드는 작가의 역량이 돋보이는 수작이라는 평이다. 김구슬 시인은 시집 ‘그림자의 섬’을 통해 시인상을 수상했다. 그의 시는 섬세하면서도 강렬한 언어, 독특한 상상력으로 빚어낸 심오한 세계관을 통해 독자들에게 깊은 감동과 사유의 기회를 제공하며 한국 시단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찬사를 받았다.

 

무엇보다 이번 시상식에서 가장 큰 주목을 받은 인물은 배우 차인표였다. 그는 소설 ‘인어사냥’으로 신진상을 수상하며 문학적 재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대중에게는 배우로 익숙한 그가 소설가로서도 뛰어난 역량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많은 이들의 놀라움과 기대를 동시에 자아냈다. ‘인어사냥’은 신인 작가답지 않은 탄탄한 구성과 흡입력 있는 스토리텔링, 그리고 사회를 향한 날카로운 시선을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황순원문학상과 함께 양평 지역 문학 발전에 기여한 문인들을 격려하는 양평문인상도 함께 시상되었다. 대상은 시인 강정례에게 돌아갔으며, 그의 시집 ‘우리 집엔 귀신이 산다’는 일상 속에서 발견하는 소박하지만 깊이 있는 통찰과 따뜻한 시선으로 심사위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우수상은 시인 노순희와 수필가 김은희가 수상하며 지역 문학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신진상 수상에 대한 차인표 작가의 소감은 많은 이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그는 “이번 수상 소식은 제가 앞으로 계속 소설을 써도 된다는 조용한 허락처럼 느껴진다”며 겸손하면서도 진정성 있는 모습을 보였다. 이어 “앞으로 정말 좋은 소설이 무엇인지, 사람들에게 감동을 남기는 소설이 무엇인지 생각하며 더 겸손히, 깊이 쓰겠다”고 덧붙여, 문학에 대한 그의 뜨거운 열정과 진지한 자세를 엿볼 수 있게 했다. 그의 이러한 다짐은 문학계에 신선한 바람을 불어넣으며 앞으로의 행보에 대한 기대를 더욱 높였다.

 

이번 황순원문학상은 한국 현대 문학의 거장 ‘소나기’의 작가 황순원(1915∼2000) 선생의 숭고한 문학 정신을 기리고, 새로운 문학적 재능을 발굴하며 한국 문학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제정된 권위 있는 상이다. 매년 뛰어난 작품과 작가들을 조명하며 한국 문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시상식은 오는 9월 12일, 황순원 선생의 문학적 발자취가 고스란히 살아 숨 쉬는 경기 양평군 황순원문학촌 소나기마을에서 성대하게 개최될 예정이다. 문학인과 독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한국 문학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고, 수상자들의 노고를 치하하며 문학의 가치를 되새기는 의미 깊은 축제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번 시상식을 통해 한국 문학이 더욱 풍성해지고 다양한 목소리가 울려 퍼지기를 기대한다.

 

문화포털

트럼프의 '해고쇼', 버티기와 소송전으로 막장 드라마 등극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가 시작되면서 고위 관료와 장성들의 해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이에 대한 강력한 저항 움직임이 포착돼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해고 통보를 받은 일부 인사들은 대통령의 인사권 행사에 대한 법적, 절차적 문제를 제기하며 정면으로 맞서고 있어 파장이 예상된다.미국 질병통제센터(CDC)의 수전 모나레즈 국장은 최근 백악관과 보건복지부로부터 경질 통보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오직 대통령만이 나를 해임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자리를 지키고 있다. BBC 보도에 따르면, 모나레즈 국장은 트럼프가 임명한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부 장관으로부터 해고 통보를 받았다. 이는 감염병 대응 백신 정책을 둘러싼 모나레즈와 케네디 장관 간의 갈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졌다. 케네디 장관은 코로나19 팬데믹 당시부터 백신 접종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왔다.지난 7월 상원 인준을 거쳐 취임한 지 불과 한 달 만에 해고 통보를 받은 모나레즈 국장은 케네디 장관을 향해 "비과학적이고 무모한 지시에 고무 도장이나 찍으라고 한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CDC 직원들 또한 모나레즈 국장을 지지하고 나섰다. 이에 백악관은 "모나레즈 해고는 트럼프 대통령의 뜻"이라며 개입했고, 조만간 새 CDC 국장 후보자를 지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모나레즈 국장 측 변호인들은 "CDC 국장은 대통령 지명과 상원 인준을 거쳐 임명되는 자리이므로 보건부 장관이 아닌 대통령만이 인사권을 가진다"는 논리로 맞서고 있다. 트럼프 본인이 이 사안에 대해 직접 입장을 표명한 적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한편, 부동산 사기 연루 의혹으로 트럼프 전 대통령으로부터 "부정부패한 인물"이라는 비난과 함께 해임 통보를 받은 리사 쿡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는 아예 트럼프 전 대통령을 상대로 법원에 해임 무효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쿡 이사는 소장에서 "대통령의 해고 명령은 불법이므로 무효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트럼프 전 대통령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피고에 포함시켰다.쿡 이사 측 변호인들은 연방 법률상 연준 이사 해임은 특별한 사유가 있을 때에만 가능하며, 쿡 이사의 경우 해당 사유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한, "소명 기회를 한 번도 주지 않은 채 해고한 것은 명백히 적법절차 위반"이라고 덧붙였다. 2020년 조 바이든 대통령에 의해 임명된 쿡 이사의 해고는 금융계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전임 정권 인사를 축출하고 측근을 심어 연준을 장악하려는 의도로 해석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취임 후 지속적으로 연준에 금리 인하를 요구해왔으나, 연준은 경제 지표 등을 이유로 이를 거부해왔다.이번 사건들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인사 정책이 전례 없는 방식으로 도전받고 있으며, 행정부 내 권력 관계와 법적 절차에 대한 논란이 더욱 심화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