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통일교 검은 돈 1억 수수 혐의로 전격 구속…정권 '핵폭탄' 터졌다!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이 통일교로부터 불법 정치자금을 수수한 혐의로 민중기 특별검사팀에 의해 구속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며 정치권에 큰 파문이 일고 있다. 서울중앙지법 남세진 영장 전담 부장판사는 16일 밤, 권 의원에 대한 영장실질심사를 진행한 뒤 "증거를 인멸할 염려가 있다"는 이유로 특검이 청구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현역 다선 의원이자 여당의 핵심 인사가 구속됨에 따라 향후 수사 진행 방향과 정치적 파장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권성동 의원은 2022년 1월 대선을 앞두고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으로부터 1억 원의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민중기 특검팀은 이날 오후 2시부터 진행된 영장 심사에서, 윤씨의 상세한 진술과 더불어 윤씨의 아내가 권 의원에게 전달하기 전 1억 원이 든 관봉권을 촬영한 사진을 핵심 증거로 제시하며 권 의원의 구속이 불가피하다고 역설했다. 이에 대해 권 의원 측은 "특검이 명확한 물증 없이 오직 공여자의 진술만을 근거로 구속을 시도하고 있다"며 혐의를 강력히 부인했으나, 법원은 특검의 주장을 받아들여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이번 구속을 계기로 특검은 권 의원을 둘러싼 추가 의혹들에 대한 수사를 본격화할 방침이다. 특히 2022년 2~3월경 권 의원이 한학자 통일교 총재로부터 현금이 든 쇼핑백을 받았다는 의혹과, 한 총재의 해외 원정 도박 관련 경찰 수사 정보를 통일교 측에 유출했다는 의혹 등이 집중적으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들 의혹은 권 의원의 정치자금법 위반뿐만 아니라 직권남용 등 추가 혐의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검사 출신인 권 의원은 18대 총선에서 강원도 강릉 선거구에서 당선된 이래 내리 5선을 기록한 중진 의원이다. 윤석열 대통령과는 사법연수원 동기이자 오랜 친구 관계로, 2022년 대선 캠프에서 비서실장을 맡는 등 윤석열 정부 출범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이후 집권당 원내대표를 역임하며 친윤계 그룹의 핵심 인사로 권력의 중심에 서 있었던 만큼, 그의 구속은 여당 내부에도 상당한 충격을 안겨줄 것으로 예상된다.

 

권 의원 측은 영장 발부 직후 페이스북을 통해 "이재명 정권과 민주당의 정치 탄압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첫 번째 신호탄"이라며 "특검의 수사는 허구의 사건을 창조하고 있다. 수사가 아닌 소설을 쓰고 있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또한 "영장을 인용한 재판부 역시 민주당에 굴복했다"고 주장하며, "반드시 진실을 밝히고 무죄를 받아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개인 비리 수사를 넘어, 현 정권과 야당 간의 정치적 공방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 정국 경색이 심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문화포털

"내 스파이더맨이 중국산 짝퉁?" 할리우드, AI 기업에 '전쟁 선포'

 창작의 심장부 할리우드가 인공지능(AI)의 거센 도전에 칼을 빼 들었다. 월트디즈니, 유니버설스튜디오, 워너브라더스 등 이름만 들어도 쟁쟁한 미국의 대표 콘텐츠 기업들이 중국의 신생 AI 스타트업 '미니맥스(MiniMax)'를 상대로 저작권 침해 소송이라는 선전포고를 날렸다. 현지시간 16일, 캘리포니아 중부지방법원에 제출된 소장에서 이들 거대 스튜디오는 미니맥스가 미국의 저작권법을 철저히 무시한 채, 자신들의 소중한 지적 자산인 캐릭터들을 무단으로 도용하며 사업을 펼치고 있다고 맹렬히 비난했다. 이는 단순한 법적 다툼을 넘어, 창작 산업의 근간을 뒤흔드는 AI 기술의 그림자에 대한 할리우드의 본격적인 반격을 알리는 신호탄이다.갈등의 중심에 선 미니맥스는 2021년 상하이에 설립된 AI 기업으로, 이미지 및 영상 생성 앱 '하이뤄 AI(Hailuo AI)'와 캐릭터 기반 챗봇 '토키(Talkie)'를 운영하며 빠르게 성장했다. 문제의 핵심은 바로 '하이뤄 AI'다. 이들은 "주머니 속 할리우드 스튜디오"라는 도발적인 문구를 내세우며 사용자를 유혹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상황과 동작, 장소 등을 입력하기만 하면, 스파이더맨, 슈퍼맨, 다스베이더, 슈렉, 버즈 라이트이어, 벅스 버니 등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할리우드의 상징적인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고화질 이미지와 영상을 즉석에서 만들어내는 것이다. 소장에 따르면, '다스베이더가 특정 장소에서 특정 행동을 하는 모습'을 요청하면, 미니맥스는 보란 듯이 해당 콘텐츠를 자사의 로고와 함께 생성해 제공했다. 이는 명백한 저작권 침해이자, 수십 년간 쌓아온 캐릭터의 가치를 정면으로 훼손하는 행위라고 할리우드는 주장한다.사실 할리우드의 이러한 움직임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이미지 및 영상 생성 AI 기술이 무서운 속도로 발전하면서, 창작자들의 권리가 무방비로 노출될 수 있다는 위기감은 업계 전반에 팽배해 있었다. 앞서 디즈니와 유니버설은 세계적인 AI 이미지 생성 기업 '미드저니'를 상대로 유사한 소송을 제기했으며, 이달 초에는 워너브라더스 역시 별도로 미드저니에 대한 소송에 합류하며 공동 전선을 구축한 바 있다. 이번 미니맥스 소송은 그 연장선상에서, 국경을 넘어 무분별하게 확산되는 AI의 저작권 침해 행위에 더 이상 좌시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경고 메시지다.특히 디즈니 연합은 이번 소송이 단순한 손해배상 청구를 넘어선, 영화 산업 전체의 생존이 걸린 문제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들은 소장에서 "미국 영화 산업은 2600억 달러(약 350조 원) 이상의 경제 효과를 창출하고 수백만 개의 일자리를 지탱하는 핵심 동력"이라며, "AI 기업들의 무분별한 저작권 침해는 이러한 문화 산업의 근간을 파괴하는 직접적인 공격 행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수차례에 걸쳐 미니맥스 측에 저작권 침해 중단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지만 아무런 응답도 받지 못했으며, 기술적으로 충분히 저작권 보호 조치를 구현할 수 있음에도 이를 의도적으로 외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디즈니 외 대 미니맥스'로 명명된 이번 사건이 창작자의 권리와 기술 발전의 경계선을 어디에 그을지, 전 세계 콘텐츠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