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섭 한 점이 35억…‘그들만의 리그’로 전락한 미술시장의 경고

 미술품 경매 시장에 겉보기엔 훈풍이 불고 있다. 한국미술품감정연구센터(KAAAI)가 발표한 2025년 3분기 미술시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주요 9개 경매사의 낙찰총액은 313억 5천만 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237억 5천만 원과 비교했을 때 무려 76억 원, 비율로는 31.99%나 증가한 수치다. 시장의 양대 산맥인 케이옥션과 서울옥션 역시 각각 59.5%, 23.7%의 낙찰총액 증가율을 보이며 외형적인 성장을 이끌었다. 이러한 수치만 놓고 보면 얼어붙었던 미술 시장이 마침내 긴 침체를 끝내고 활기를 되찾기 시작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외형적 성장의 이면을 들여다보면 다른 그림이 그려진다. 놀랍게도 3분기 경매에 출품된 작품의 수는 총 4,599점으로, 전년 동기의 6,045점에서 23.9%나 감소했다. 시장에 나온 물건의 수는 크게 줄었는데, 전체 거래 금액은 오히려 늘어나는 기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이는 경매 시장의 체질이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지표다. 소수의 작품이 시장 전체의 파이를 키우는 동안, 대다수의 작품은 이전보다 더 주목받지 못하고 거래의 장에서 외면당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시장 전반에 온기가 퍼지는 것이 아니라, 특정 지점만 뜨겁게 달아오르는 국소적인 과열 현상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출품작은 줄었는데 낙찰총액이 늘어난 기현상은 소수의 ‘대어’가 시장 전체를 견인했기 때문이다. 그 중심에는 국민 화가 이중섭의 작품이 있었다. 지난달 케이옥션 경매에 나온 이중섭의 ‘소와 아동’은 무려 35억 2천만 원이라는 압도적인 금액에 낙찰되며 3분기 최고가를 기록했다. 그의 소 연작은 대부분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어 경매 출품 자체가 극히 드물다는 희소성이 가격을 밀어 올렸다. 여기에 박수근의 1959년 작 ‘산’ 역시 12억 원에 팔리며 힘을 보탰다. 작년 한 해 동안 10억 원 이상에 낙찰된 작품이 쿠사마 야요이의 ‘호박’(29억 원) 단 한 점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 3분기에만 10억 원을 훌쩍 넘는 작품이 두 점이나 등장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을 시장의 전반적인 회복 신호로 해석하는 것을 경계한다. 이는 미술 시장의 ‘양적 축소’와 ‘질적 성장’이 동시에 일어난 결과이며, 본질적으로는 시장의 ‘고가화’와 ‘양극화’가 더욱 심화하는 과정이라는 진단이다. 즉, 돈이 되는 소수의 인기 작가와 검증된 작품에만 자본이 집중되는 ‘쏠림 현상’이 극명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뜻이다. 이러한 쏠림은 단기적으로는 시장의 지표를 끌어올리는 긍정적 효과를 낳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시장의 허리를 약화시키고 다양성을 해쳐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결국 지금의 시장은 건강한 회복세가 아닌, 소수 거장들의 작품에 기댄 불안한 성장일 수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문화포털

홍콩의 밤, 또다시 박보검에게…'MAMA'의 역사를 함께 쓴 남자의 7번째 등판

 배우 박보검이 K팝의 역사를 써 내려가는 글로벌 시상식 'MAMA AWARDS'의 상징적인 얼굴로 다시 한번 무대에 오른다. CJ ENM은 오는 11월 28일과 29일, 홍콩 카이탁 스타디움에서 화려하게 개최될 '2025 MAMA AWARDS'의 첫날 호스트로 박보검이 확정되었음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이로써 박보검은 시상식의 첫 번째 날인 'CHAPTER 1'의 포문을 열며 전 세계 K팝 팬들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번 호스트 발탁은 단순한 진행자 선정을 넘어, 오랜 시간 동안 쌓아온 시상식과 박보검 사이의 굳건한 신뢰와 파트너십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는 계기가 되었다.박보검과 'MAMA AWARDS'의 인연은 단순한 횟수를 넘어 하나의 역사를 이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17년 처음으로 호스트 마이크를 잡은 이래, 그는 2018년, 2019년에 이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연이어 시상식을 이끌어왔다. 2025년까지 합류하게 되면서 무려 7회째라는 대기록을 세우게 된 것이다. 이는 특정 아티스트나 배우가 단일 시상식의 호스트를 이토록 오랜 기간 역임하는 것이 극히 이례적인 일이기에 더욱 주목받는다. 박보검의 안정적인 진행 능력과 독보적인 아우라는 'MAMA AWARDS'가 추구하는 권위와 글로벌 축제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는 평이다.특히 박보검은 'MAMA AWARDS'가 중대한 변화를 맞이하는 역사적인 변곡점마다 그 중심을 지켜왔다는 점에서 단순한 진행자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기존의 'Mnet Asian Music Awards'에서 'MAMA AWARDS'로 명칭을 바꾸고 정체성을 재정립한 리브랜딩의 원년부터, K팝의 위상을 전 세계에 알린 미국 본토 첫 진출이라는 기념비적인 순간까지 모두 그의 목소리와 함께했다. 뿐만 아니라 나고야, 오사카, 도쿄돔 등 일본 3대 돔에서 개최되며 아시아 전역의 팬들을 열광시켰던 무대 역시 그가 함께하며 역사를 써 내려갔다.올해는 홍콩의 최신식 공연장인 카이탁 스타디움에서 그 역사를 이어간다. 박보검의 합류 소식으로 일찌감치 기대감을 높인 '2025 MAMA AWARDS'는 엠넷플러스(Mnet Plus)를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에 실시간으로 생중계될 예정이다. 7번째 호흡을 맞추는 박보검이 그의 베테랑다운 품격으로 또 어떤 감동과 환희의 순간을 선사할지, 홍콩의 밤을 화려하게 수놓을 그의 활약에 전 세계 K팝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