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어보니까..." 박미선, 암 투병 최초 고백 중 오열…스튜디오 '정적'

 개그우먼 박미선이 암 투병 사실을 고백하며 오랜 침묵을 깨고 대중 앞에 섰다. tvN 예능 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럭' 예고편을 통해 공개된 그의 모습은 많은 이들에게 놀라움과 안타까움을 동시에 안겼다. 눈에 띄게 짧아진 머리로 등장한 박미선을 향해 MC 유재석은 "건강한 모습으로 돌아온 단짝 누나"라며 그 누구보다 따뜻하고 반가운 인사를 건넸다. 올해 초 건강상의 이유로 모든 활동을 중단했던 터라 그의 방송 복귀 소식 자체만으로도 큰 화제가 되었으며, 그가 직접 자신의 상태를 전하기 위해 용기를 냈다는 점에서 많은 응원이 쏟아지고 있다.

 

박미선은 방송 출연 이유에 대해 "가짜 뉴스도 너무 많고, 생존 신고를 하러 왔다"고 담담하게 밝히며 그간 자신을 둘러싼 무성한 소문과 억측에 대해 정면으로 마주했다. 투병의 그늘 속에서도 그는 특유의 유쾌함을 잃지 않았다. 짧아진 머리 스타일을 두고 "퓨리오사 같지 않냐"며 농담을 던지고, 숙연해진 분위기를 의식한 듯 "웃어도 된다"고 말하며 주변을 배려하는 모습은 그가 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희극인인지를 다시 한번 증명해 보였다. 힘든 시간 속에서도 웃음을 잃지 않으려는 그의 프로다운 모습은 보는 이들의 마음을 더욱 뭉클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유쾌함도 잠시, 투병 과정을 회상하는 대목에서는 그가 겪었을 고통의 깊이가 고스란히 전해졌다. 그는 "야외 촬영이 잡혀 있었는데, 다녀와서 방사선 치료를 받으려 했다"고 말문을 열었지만, 이내 "그런데 열어보니까..."라며 말을 잇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방송에서 처음으로 당시의 심경을 고백하며 복받치는 감정을 추스르지 못하는 그의 모습은, 수술 과정이 당초 예상보다 심각했음을 짐작게 하며 안타까움을 더했다. 잠시 말을 멈춘 그 짧은 침묵 속에는 차마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수많은 감정과 힘겨운 시간들이 응축되어 있었다.

 

강인한 모습으로 돌아온 그였지만, 지인이 전하는 영상 편지 앞에서는 끝내 참았던 눈물을 쏟아냈다. 화면을 통해 전해지는 따뜻한 위로와 응원에 눈시울을 붉히는 그의 모습은, 겉으로는 강한 척했지만 속으로는 여전히 위로가 필요했던 한 인간 박미선의 여린 내면을 보여주었다. 유방암 초기 진단 후 묵묵히 치료에 전념하며 힘든 시간을 이겨내고, 마침내 대중 앞에 다시 서서 자신의 이야기를 꺼내놓기까지의 과정은 많은 이들에게 깊은 울림과 함께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문화포털

수출만 잘된 게 아니다… 해외서 앉아서 벌어들인 '배당금'만 2조원 훌쩍

 9월 경상수지가 134억 7000만달러라는 기록적인 흑자를 내며 29개월 연속 흑자라는 대기록을 이어갔다. 이는 9월 기준으로 사상 최대 규모이며, 2000년대 들어 두 번째로 긴 흑자 행진이다. 이러한 호실적의 배경에는 반도체와 선박 수출의 견조한 흐름과 더불어, 누적된 대외 순자산에서 발생하는 배당 및 이자 소득이 크게 기여했다. 상품수지와 본원소득수지 흑자가 동시에 큰 폭으로 확대되면서 전체 경상수지 흑자 규모를 역대급으로 끌어올린 것이다. 특히 수출과 수입이 함께 늘어나는 건강한 흑자 구조를 보였다는 점에서 이번 실적은 더욱 의미가 깊다.이번 흑자 기조를 이끈 핵심 동력은 단연 상품수지였다. 상품수지는 142억 4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역대 2위 수준에 올랐다. 반도체가 22.1% 급증하며 여전한 주력 품목임을 입증했고, 추석 연휴 기저효과 등에 힘입어 승용차, 화공품, 기계류 등 비IT 품목의 수출까지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며 힘을 보탰다. 그 결과 전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9.6% 증가하며 두 달 만에 플러스로 전환됐다. 주목할 점은 수입 역시 4.5% 늘었다는 사실이다. 국제유가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국내 소비 회복과 맞물려 자본재와 소비재 수입이 크게 확대되면서, 과거의 '불황형 흑자'와는 질적으로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물론 빛이 있으면 그림자도 있는 법이다.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어 온 서비스수지는 33억 2000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하며 전체 흑자 폭을 갉아먹었다. 여름 성수기가 지나며 여행수지 적자 폭은 다소 줄었지만, 원자재 수입에 쓰이는 벌크선 운임이 오르면서 운송수지가 5개월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여기에 계절적 요인이 사라지면서 지식재산권사용료수지 적자 폭도 다시 확대됐다. 반면, 본원소득수지는 29억 6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상품수지와 함께 흑자 쌍끌이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이는 우리 기업들이 해외에 투자해 벌어들인 배당소득이 크게 늘어난 덕분으로, 한국 경제가 해외 자산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단계에 접어들었음을 시사한다.한국은행은 연간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기존 전망치를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10월에는 조업일수 감소로 잠시 주춤하겠지만, 11월부터는 반도체 수출 호조와 유가 안정 등에 힘입어 다시 양호한 흐름을 회복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이러한 장밋빛 전망 속에서도 정부가 추진하는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는 향후 우리 경제의 향방을 가를 중대한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해당 투자가 관련 원부자재 수출 증가로 이어져 경상수지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도 있지만, 자칫 국내 제조업의 기반을 흔드는 '산업 공동화'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공존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