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설'의 기록, 마침내 깨졌다…새로운 여제 등극에 전 세계가 '경악'

 12년간 난공불락의 요새로 여겨졌던 '빙속 여제' 이상화의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500m 세계기록이 마침내 깨졌다. 2013년 11월 17일, 이상화가 기록한 36초36이라는 숫자는 하나의 상징과도 같았지만, 정확히 12년의 세월이 흐른 2025년 11월 17일, 네덜란드의 펨케 콕이 그 아성을 무너뜨렸다. 콕은 미국 유타주 솔트레이크시티 유타 올림픽 오벌에서 열린 2025-2026 ISU 스피드스케이팅 월드컵 1차 대회 여자 500m 2차 레이스에서 36초09라는 경이적인 기록으로 결승선을 통과하며 새로운 역사의 주인공이 되었다. 이상화가 전설을 썼던 바로 그 장소에서, 12년 전의 기록을 0.27초 앞당기며 길었던 '여제의 시대'에 마침표를 찍은 것이다.

 

이상화의 36초36이 얼마나 위대한 기록이었는지는 다른 종목의 세계기록 수립 시점과 비교하면 더욱 명확해진다. 펨케 콕이 신기록을 세우기 직전까지, 이상화의 기록은 스피드스케이팅 올림픽 정식 종목을 통틀어 가장 오래된 세계기록으로 남아 있었다. 여자 1000m, 1500m, 3000m 세계기록이 모두 2019년에 작성되었고, 5000m와 팀 추월은 2020년에 새 주인을 찾았다. 남자부 역시 대부분의 기록이 2019년 이후에 경신되었다. 최신 장비와 기술, 주법의 발전으로 다른 종목들의 기록이 꾸준히 단축되는 동안에도 이상화의 기록만큼은 12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굳건히 정상을 지키며 그 가치를 증명해왔다.

 


이처럼 철옹성 같던 기록을 깨기 위해 새로운 챔피언 펨케 콕은 '전설' 이상화를 철저하게 분석하고 연구했다. 그녀는 네덜란드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종전 세계기록 보유자였던 이상화가 신기록을 수립할 당시의 영상을 수백 번은 돌려봤다"고 털어놓았다. 영상을 볼 때마다 "어떻게 저렇게 빠를 수 있지?"라는 경외심을 가졌다고 고백한 그녀는, 마침내 자신의 우상을 넘어선 순간 "나의 꿈을 이뤘다. 믿어지지 않는다"며 감격의 눈물을 감추지 못했다. 이는 단순히 기록 경신을 넘어, 한 시대의 아이콘을 목표로 삼아 끊임없이 정진한 한 선수의 인간 승리 드라마이기도 했다.

 

사실 이상화는 2013년 한 해에만 여자 500m 세계기록을 무려 네 차례나 갈아치우며 압도적인 전성기를 구가했다. 1월에 36초80으로 세계신기록을 세운 것을 시작으로, 11월에는 자신의 기록을 36초74, 36초57, 그리고 최종적으로 36초36까지 단축시키는 기염을 토했다. 특히 마지막 두 기록이 작성된 유타 올림픽 오벌은 해발 1000m가 넘는 고지대에 위치해 공기 저항이 적고, 최상의 빙질 관리로 '기록의 산실'이라 불리는 곳이다. 12년 전 이상화가 그랬던 것처럼, 펨케 콕 역시 최적의 환경에서 자신의 모든 것을 쏟아부어 불멸과도 같았던 기록을 역사 속으로 보내고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문화포털

잘나가던 금리 인하, '집값'과 '환율'에 발목 잡혔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27일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동결하기로 결정하면서, 그동안 유지해왔던 '금리 인하'에 대한 명확한 신호를 거두어들였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서 향후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도, 인하 자체를 기정사실로 했던 기존의 입장에서 한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향후 경제 상황의 불확실성에 따라 추가적인 금리 인하가 중단될 수도 있다는, 이전보다 훨씬 신중하고 긴축적인 입장으로의 선회를 의미하는 것이어서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이번 금통위의 입장 변화는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의 핵심 문구가 수정된 데서 명확히 드러난다. 금통위는 지난해 10월 금리 인하를 시작한 이래 줄곧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나가겠다"는 표현을 사용하며 인하 방향성을 분명히 해왔다. 또한 향후 고려 사항으로 '추가 인하 시기와 속도'를 언급하며, 인하 자체는 예정된 수순이고 시점과 폭만 조율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하지만 이날 발표된 결정문에서는 '인하 기조'라는 단어가 '인하 가능성'이라는 유보적인 표현으로 대체되었고, 결정 사항 역시 '시기와 속도'가 아닌 '여부 및 시기'로 변경됐다. 추가 금리 인하의 실행 '여부' 자체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는 의미로, 명백한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신호로 해석된다.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발언 역시 이러한 기류 변화를 뒷받침했다. 이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성장률 전망이 상향 조정됐지만 향후 경로에 상·하방 위험요인이 모두 잠재해 있다"고 전제한 뒤, "부동산 시장의 높은 가격 상승 기대, 환율 변동성 확대 등 금융안정 리스크가 여전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러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당분간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할 가능성과 동결을 이어갈 가능성을 모두 열어놓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사실상 금리 인하 행진의 '일시정지' 또는 '종료'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발언으로 풀이된다.이처럼 한국은행이 통화정책의 톤을 조절한 배경에는 예상보다 견조한 경제 지표와 여전히 불안한 금융 시장 상황이 자리 잡고 있다. 실제로 한은은 이날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1.0%, 1.8%로 지난 8월 전망치보다 상향 조정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 역시 올해와 내년 모두 2.1%로 높여 잡았다. 경기가 예상보다 선방하고 물가 상승 압력도 여전한 상황에서, 환율 변동성과 집값 불안이라는 금융안정 리스크까지 떠안으면서 서둘러 금리를 추가로 내릴 명분이 줄어들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