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림트, 죽어서도 신기록…현대미술 최고가 3,460억 원에 낙찰

 오스트리아를 대표하는 거장 구스타프 클림트가 말년에 그린 초상화 한 점이 미술계의 역사를 새로 썼다. 현지시간 18일 저녁, 미국 뉴욕 소더비 경매에서 클림트의 '엘리자베스 레더러의 초상'이 수수료를 포함해 무려 2억 3,640만 달러, 우리 돈으로 약 3,460억 원이라는 천문학적인 금액에 낙찰되며 현대미술품 경매 사상 최고가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이는 2023년에 세워진 클림트 자신의 기존 최고가(1억 800만 달러)를 2배 이상 훌쩍 뛰어넘는 금액이다. 20분간 이어진 팽팽한 응찰 경쟁은 현장의 모든 이들을 숨죽이게 했으며, 최종 낙찰이 결정되는 순간 장내에서는 탄성과 함께 뜨거운 박수갈채가 터져 나왔다. 낙찰자의 신원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에 새 주인을 찾은 '엘리자베스 레더러의 초상'은 클림트가 1914년에서 1916년 사이에 그의 후원자였던 인물의 스무 살 딸을 모델로 그린 작품이다. 특히 이 그림은 클림트의 전체 작품을 통틀어 단 두 점밖에 존재하지 않는 전신 초상화 중 하나라는 점에서 희소성이 매우 높다. 이 걸작은 지난 40년간 세계적인 화장품 회사 에스티 로더의 창립자 에스티 로더의 아들, 레너드 로더의 뉴욕 자택에 걸려 있었다. 하지만 지난 6월 레너드 로더가 세상을 떠나면서, 그가 평생에 걸쳐 수집한 방대한 예술품들이 이번 경매를 통해 세상에 나오게 된 것이다. 한 개인의 서재에 머물던 작품이 경매장에 등장하자마자 세계 미술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게 된 셈이다.

 


이번 경매에서는 클림트의 작품만큼이나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킨 또 다른 작품이 있었으니, 바로 이탈리아 출신의 설치미술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황금 변기 '아메리카'다. 이 작품은 2019년 윈스턴 처칠 전 영국 총리의 생가에서 도난당해 더욱 유명해진 바로 그 황금 변기의 자매품으로, 무려 18캐럿 순금 약 91kg이 사용되어 제작되었다. 경매 시작가는 순수하게 금 시세에 따라 정해질 예정이며, 작품의 특이성 때문에 사방이 유리로 된 작은 화장실 공간에 별도로 설치되어 관람객들을 맞았다. 작품을 보려는 이들이 길게 줄을 섰고, 그 앞에는 '보기만 하고 만지지 마시오'라는 안내문이 붙어 진풍경을 연출했다.

 

클림트 작품의 기록적인 낙찰은 단순히 개별 작품의 가치를 넘어, 지난 2년간 침체일로를 걷던 미술 시장 전체에 활력을 불어넣을 기폭제가 될지 주목받고 있다. 전 세계 미술품 및 골동품 판매가 2년 연속 감소하고 여러 갤러리가 문을 닫는 등 위축되었던 시장 상황 속에서 이번 경매는 중요한 시험대였다. 소더비 측은 이번 주에 앙리 마티스, 제프 쿤스 등 거장들의 작품을 연이어 경매에 부치며 총 10억 달러(약 1조 4,600억 원) 이상의 판매고를 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 점의 그림이 쏘아 올린 신기록이 얼어붙었던 미술 시장에 따뜻한 봄을 불러올 수 있을지 전 세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문화포털

성수대교 붕괴 교훈 잊었나…전국 교량·터널 115곳, 무자격 업체 손에 맡겨졌다

 국민의 안전과 직결된 교량, 터널 등 주요 사회기반시설의 안전진단 용역을 불법으로 하도급해 온 업체 관계자들이 무더기로 경찰에 붙잡혔다. 서울경찰청 형사기동대는 시설물안전법 및 건설기술진흥법 위반 등의 혐의로 안전진단 업체 대표 ㄱ씨를 포함한 34명과, 이들로부터 불법으로 용역을 재하도급받은 미등록 업체 관계자 6명 등 총 40명을 검거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2023년 5월부터 지난 3월까지 약 1년간 전국의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이 발주한 시설물 안전진단 및 설계 용역을 발주처의 승인 없이 불법적으로 하도급하거나, 아예 안전진단기관으로 등록조차 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역을 수행한 혐의를 받고 있다.경찰 조사 결과, 이들의 범죄 수법은 매우 조직적이고 치밀했다. ㄱ씨 등은 보유한 인력만으로는 수주한 용역을 모두 감당하기 어려워지자, 실적이 부족한 영세 업체에 용역 대금의 60~70%만 지급하는 조건으로 안전진단 업무를 통째로 떠넘겼다. 심지어 불법으로 하도급을 받은 업체가 또 다른 무등록 업체에 일을 넘기는 '불법 재하도급'까지 이뤄진 사실도 확인됐다. 이들은 더 많은 용역을 따내기 위해 전국 각지에 여러 개의 지점 사무실을 개설하는 방식으로 입찰 참가 자격을 늘려 낙찰 확률을 높이는 편법을 사용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전국 단위의 시설물 안전진단을 무분별하게 수주해온 것으로 드러났다.이들은 단속을 피하기 위한 기만적인 수법도 동원했다. 하도급 업체 직원을 마치 자신들의 소속 직원인 것처럼 일시적으로 고용 등록을 해 서류를 조작했으며, 하도급 대금을 지급하는 과정에서는 용역과 전혀 관련 없는 물품을 거래한 것처럼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행해 자금 흐름을 위장했다. 과거 1994년 성수대교 붕괴라는 참사를 겪으며 부실 진단을 막기 위해 제정된 시설물안전법의 취지를 정면으로 거스른 것이다. 해당 법은 안전진단 용역의 하도급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법에서 정한 기술 인력과 장비를 갖춰 정식으로 등록된 업체만이 안전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엄격히 규정하고 있지만, 이들에게는 유명무실한 법규에 불과했다.경찰은 이번 수사를 통해 총 26개 업체가 115건의 용역을 불법 하도급한 사실을 적발하고, 해당 업체 명단을 관할 지방자치단체 등에 통보해 행정처분을 의뢰했다. 동시에 교량, 터널과 같이 국민 안전에 미치는 영향이 큰 시설물 용역에 대해서는 발주처가 하도급 실태 등 관리·감독을 더욱 철저히 해줄 것을 강력히 요청했다. 경찰 관계자는 "이번 수사를 통해 전국적으로 만연한 안전진단 업계의 불법 하도급 관행과 이를 숨기기 위한 교묘한 위장 수법을 확인했다"며 "국민의 안전을 담보로 사익을 추구하는 불법 하도급 행태는 물론, 이와 관련된 유착 비리까지 뿌리 뽑기 위해 더욱 강력한 단속을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