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일간 청주 실종女, 차가운 오폐수 처리조 안에서 발견돼

 44일간의 실종으로 기록되었던 충북 청주의 50대 여성 실종 사건이 전 연인의 잔혹한 살인 행각으로 드러나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피의자인 50대 남성 김모 씨는 전 여자친구였던 피해자를 흉기로 무참히 살해한 뒤, 자신의 직업을 이용해 시신을 폐기물 처리 시설에 유기하는 등 치밀하고도 끔찍한 방법으로 범행을 은폐하려 한 사실이 경찰 조사 결과 밝혀졌다. 경찰은 범행 일체를 자백한 김씨에 대해 살인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하며 사건의 전말을 파헤치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김씨의 범행은 지난달 14일, 질투와 분노에서 시작되었다. 그는 전 연인 A씨의 SUV 차량 안에서 그녀가 다른 남성을 만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순간적으로 격분했다. 이성을 잃은 김씨는 미리 준비한 것으로 추정되는 흉기를 꺼내 A씨를 10여 차례나 찔러 그 자리에서 살해했다. 연인 관계에서 비롯된 사소한 다툼이 끔찍한 살인으로 이어진 순간이었다. 범행 후 김씨는 자신의 죄를 덮기 위해 냉혹하고 계획적인 은폐 작업에 착수했다.

 


폐기물처리업체를 직접 운영하던 김씨는 자신의 직업을 범행 은폐에 악용했다. 그는 숨진 A씨의 시신을 대형 마대 자루에 담은 뒤, 평소 거래 관계에 있던 음성군의 한 다른 폐기물업체로 향했다. 그리고는 그곳에 설치된 오폐수처리조 안에 시신이 담긴 마대를 던져 넣어 완전 범죄를 꿈꿨다. 범행의 직접적인 증거인 A씨의 SUV 차량 역시 그의 치밀한 계획 아래 자취를 감췄다. 김씨는 혈흔이 남았을 차량을 두 곳 이상의 거래처에 옮겨 다니며 숨겼고, 마지막에는 천막으로 덮어 외부의 시선으로부터 완벽히 차단했다.

 

차량을 맡길 당시 그는 거래처 업주에게 "자녀가 사고를 많이 치고 다녀서 차를 빼앗았다. 잠시만 맡아 달라"고 태연하게 거짓말까지 한 것으로 조사되어 주변을 더욱 경악하게 했다. 하지만 그의 범죄는 영원히 묻히지 않았다. 경찰의 끈질긴 수사망이 좁혀오자 심리적 압박감을 느낀 김씨는 결국 2차 피의자 조사 과정에서 "여자친구를 살해했다"고 범행 일체를 자백했다. 그는 A씨의 시신을 유기한 장소까지 구체적으로 실토했고, 경찰은 그의 진술을 토대로 실종 44일 만인 지난 27일 저녁, 음성군의 한 공장 폐수처리조 안에서 마대자루에 담긴 A씨의 시신을 발견할 수 있었다.

 

문화포털

월 318만원, 누구는 연금으로 '월급' 받는다…나는 얼마?

 국민연금이 누군가에게는 든든한 노후 버팀목이 되지만, 다른 누군가에게는 용돈 수준에 그치는 극명한 소득 격차의 현실이 통계로 증명됐다. 국민연금공단이 발표한 '2025년 7월 기준 국민연금 공표통계'에 따르면, 노령연금을 매달 300만 원 넘게 수령하는 사례가 등장하며 연금 수령액의 상한선을 끌어올렸다. 현재 최고 수급자는 월 318만 5,040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었는데, 이는 연금 수급 시점을 늦추는 연기연금 제도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수령액을 극대화한 결과로 분석된다. 이처럼 일부는 연금만으로도 안정적인 노후 생활이 가능해진 반면, 전체 노령연금 수급자의 월평균 수령액은 약 68만 원에 불과해 가입 기간과 납부액에 따른 노후 소득의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이러한 격차의 핵심 원인은 '가입 기간'에 있다. 전체 노령연금 수급자의 월평균 수령액 67만 9,924원은 1인 가구 기준 기초생활수급자의 생계급여(최대 77만 원 선)에도 미치지 못해 국민연금의 실효성에 대한 비판을 낳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비교적 짧은 기간만 보험료를 납부한 수급자가 다수 포함된 평균의 함정이다. 실제로 가입 기간을 20년 이상 채워 '완전 노령연금'을 받는 수급자들의 월평균 수령액은 112만 539원으로, 전체 평균보다 두 배 가까이 많았다. 반면, 최소 가입 기간인 10년을 갓 넘긴 10~19년 사이 가입자의 월평균 수령액은 44만 2,177원에 그쳤다. 결국 얼마나 오랫동안 꾸준히 보험료를 납부했는지가 노후 연금액의 수준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잣대임이 다시 한번 확인된 셈이다.수급 금액대별 분포를 살펴보면 국민연금의 현주소는 더욱 명확해진다. 월 20만 원에서 40만 원 미만을 받는 수급자가 약 217만 명으로 가장 거대한 집단을 형성하고 있어, 아직까지는 국민연금이 주된 노후 소득원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고액 수급자의 증가세 역시 뚜렷하다. 월 100만 원 이상을 받는 수급자는 약 85만 명에 달하며, 월 200만 원 이상을 받는 고액 수급자도 8만 2,484명으로 집계되는 등 연금 제도의 성숙과 함께 연금을 통한 노후 준비가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2025년 7월 기준 전체 연금 수급자(일시금 포함)는 754만 명을 넘어섰으며, 이 중 매달 연금을 받는 사람은 733만 명에 달해 국민연금이 명실상부한 전 국민적 노후 보장 제도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결론적으로 이번 통계는 국민연금이 실질적인 노후 안전망으로 기능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 '장기 가입'에 있음을 명백히 보여준다. 1988년 제도가 도입된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이제는 단순히 의무감에 납부하는 세금이 아니라 자신의 노후를 직접 설계하는 장기 투자 상품이라는 인식이 중요해졌다. 전문가들은 가입 기간을 늘릴 수 있는 추납 제도나 크레딧 제도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수령액을 높이는 '연금 재테크'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얼마나 오래, 얼마나 꾸준히 납부했는지가 100세 시대의 노후 생활의 질을 완전히 다른 수준으로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이번 통계는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